안녕하세요. 인사 부서 취업을 위해 고민하고 노력한 흔적이 보입니다. 부족할 수도 있지만 제가 아는 부분까지 대답해 드릴게요.
전공과 경험을 기반으로 강점을 찾으세요
고민 글로 봐선 인사 관리(HRM) 쪽 취업을 원하시는 것 같습니다. 이 분야에서 높게 쳐주는 요소 3가지를 꼽자면 학교 네임밸류, HR 인턴경력, 노무사 자격증 등입니다.
ⒸMike Szczepanski
행정학 전공에 연구 조교를 한 멘티님의 전공과 경력만 봐서는 누구나 노무 관련 질문을 했을 것 같습니다. 현재 상황에선 본인이 노무 분야에 강점을 가졌다는 점을 강조하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물론 원하는 인사직무와 약간 다를 수도 있으나 인사와 노무는 한 끗 차이입니다. 회사 내에서도 얼마든지 직무이동이 가능하고 인사/노무를 병행해서 하는 회사도 많습니다.
그 외 준비 방법으로는 인사/조직 관련 대학원 진학, 인턴 등이 있지만 사실 두 방법 모두 시간도 오래 걸리고 쉽지 않습니다. 특히 HR 관련 인턴은 자리 구하기도 힘들고요. 만약에 인턴을 하게 된다면 졸업을 유예 하고 몇 개월 해 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공인노무사, 준비한 것만으로도 인정받아요
인사직무는 사실 대부분의 경영지원업무와 마찬가지로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입니다. 공대의 전공 지식처럼 어려운 내용이 많이 필요 없다는 뜻이겠죠. 그나마 가장 전문적인 분야는 노무 분야입니다. 가능하면 앞서 말했듯이 공인노무사 관련 공부를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José Alejandro Cuffia
큰 자격증 시험은 자격증을 취득하지 않더라도 준비한 것만으로도 면접 시 꽤 가산점이 됩니다. 관련 내용을 공부한 적이 없다면 지금부터라도 공부할 것을 추천합니다.
공인노무사의 수험 범위에는 멘티님이 수강한 조직 행동론, 인적 자원관리론과 같은 일반적인 내용부터 근로기준법, 노동조합법, 등 노동법 지식까지 총 망라되어있습니다. 해당 내용만 습득하면 인사 전 분야를 알게 되는 거죠.
사실 노무사는 쉬운 자격증이 아닙니다. 특히 실제 업무를 하지 않고는 감이 안 오는 내용이 태반입니다. 하지만 그만큼 인사 분야에서 어필하기 좋은 것도 없습니다. 그동안 준비한 적이 없다면, 해당 내용을 한번 공부해 보고 다음 면접 때 '공인노무사 시험을 준비하고 있다. 나중에 회사 업무를 하며 취득하고 싶다.'고 말해 보는 것은 어떨까요.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기획력
인사와 노무는 업무 범위가 약간 다릅니다. 인사 업무가 인사기획, 채용, 평가, 보상, 인사 행정 등이라면 노무 업무는 노무 기획, 대조합업무, 노사 협상, 현장 고충사항 해결 등입니다. 노무 쪽이 아무래도 사람 상대하는 일이 더 많겠죠.
그래서 이 분야에서 제일 필요한 능력은 커뮤니케이션 능력입니다. 그 다음이 기획력, 그다음이 인사 관련 지식 정도겠네요. 그렇기 때문에 면접 때 학교 전공지식만으로는 어필하기 힘들다는 겁니다. 학교 네임 밸류만 보고 뽑는 경우도 허다하고요.
어려운 길을 선택한 만큼 준비 잘해서 좋은 결과 있기를 바랍니다. 질문 내용만 봐도 고민을 많이 한 것이 느껴집니다. 취업 상담을 몇 번 해본 결과 느낀 점은 고민을 많이 한 사람이 결국 잘된다는 겁니다. 진로 고민을 많이 한 만큼 앞으로 잘 되실 것이라 믿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