멘토지원
파트너스
현직자 클래스
멘토 찾기
Best 질문답변
대기업 인사직무, 신입사원에게 바라는 역량은 이것!
멘토
인사/총무/노무
약 4년 전
💬 멘티의 질문

안녕하세요 멘토님. 저는 H 종합물류회사의 인사팀 입사를 희망하는 멘티입니다. 다만, 행정학도로서 인사 직무에서 요구하는 역량과 일선에서 어떤 업무를 주로 맡아 하는지에 대한 인식이 전혀 없어 자기소개서 작성 단계에서부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iJeab


행간의 이야기로는 인사팀은 1년 단위로 대규모 인사를 준비하다 보니 현재에 대한 분석력과 이를 바탕으로 미래 채용 시장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통찰력이 중요하다고 들었습니다. 맞는 이야기인지 일선의 관리자로서, 그리고 취업 선배로서 한 말씀 해주신다면 정말 감사할 것 같습니다.


💬 김충만 멘토의 답변


예시로 알아보는 업무 사이클

안녕하세요 멘티님. 질문을 쭉 읽고 보니 제가 처음 인사 직무를 준비했을 때가 떠오르네요.


인사라는 직무, 겉으로는 대충 어떤 일인지 알겠고 하고 싶기는 한데 도대체 구체적으로 어떤 업무를 하고 어떤 역량이 중요한지 정말 막막했죠. 멘티님도 비슷한 상황인 것 같아요. 


질문을 크게 정리하자면 ‘인사부서에서 어떤 업무를 주로 하는지, 인사 직무에서 요구하는 역량은 무엇인지’ 이렇게 되겠네요. 우선 인사부서에서 하는 업무부터 살펴볼까요?


Africa Studio 


인사부서에서 하는 일은 파트에 따라 나뉘는데 대략 나열하자면 채용/노무/보상/교육/육성/인력 운영/근태/제도 기획(평가, 승진, 직군 등) 등을 꼽을 수 있습니다. 물론 파트명은 회사마다 약간 다를 수 있습니다. 회사 규모에 따라 조직문화/복지/총무 등의 파트도 포함될 수도 있겠고요.


각 파트에서 하는 일들은 세세하게 나열하면 끝이 없을뿐더러, 회사마다 다르니까 이해하기 쉽도록 큰 틀에서 프로세스를 설명하겠습니다. 우선 ‘운영 → (이슈) → 기획 → 개선 및 보완 → 운영’의 사이클로 일이 돌아간다고 보면 됩니다. 이렇게 말하면 감이 오지 않을 것 같으니 자세히 풀어서 설명할게요. 보상을 예로 들게요.


1. 운영 : 현재의 급여체계로 주기적으로 급여 및 성과급 지급


2. 이슈 : 물가 상승 및 경쟁사의 임금상승 혹은 노동조합의 임금인상 요구.


3. 기획 : 총보상을 인상하되, 기본급의 비중을 줄여 경기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보상체계 기획.


4. 개선 및 보완 : 제도를 도입해보니 직급별 임금 격차가 지나치게 크게 나와 이에 관한 체계를 개선 및 보완.


5. 다시 운영 : 개선된 보상체계로 다시 운영.


2번의 ‘이슈’ 단계가 없더라도, 현 체계보다 더 나은 제안을 하기 위해 3번으로 건너뛸 수도 있습니다. 만약 다른 파트가 3번을 한다면 주 52시간 근무제에 따른 유연근무제 도입(근태), 직급체계 개선(제도 기획) 등을 수행할 수도 있겠네요. 얼핏 봐도 ‘기획’의 비중이 큰 것이 느껴지나요?


Monster Ztudio


적극성은 인사팀 신입의 필수역량

‘인사 직무에서 가장 필요한 역량은 바로 분석력입니다.’와 같은 명쾌한 답을 원했을 것 같지만, 아쉽게도 인사 직무에서 필요한 역량은 셀 수 없이 많고 그 중요도도 순위를 매기기 어렵습니다. 


질문에서 ‘현재에 대한 분석력과 미래를 예측할 수 있는 통찰력이 중요하다고 들었다’고 말했는데 인사 직무에는 채용 업무만 있는 것이 아니라서 굳이 미래시장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통찰력을 갖춰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확실히 인사직무를 수행하기 위해서 분석력, 통찰력을 포함해 커뮤니케이션 능력, 창의력, 정직함, 통계 능력, 이해력(노동법 등), 기획력 등 수많은 능력이 필요해요. 기획안 하나를 작성할 때도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능력이 요구되거든요. 


- 현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분석력, 이해력

- 새로운 문제해결 방법으로 접근할 수 있는 창의력

- 해당 방법의 기대효과 등을 뒷받침할 자료를 만들 수 있는 통계 능력

- 의사 결정자에게 이것들을 말, 장표 등으로 이해하기 쉽게 전달하는 커뮤니케이션 능력


따라서, 자기소개서를 쓸 때 가장 자신 있는 역량을 적절한 경험 및 사례와 함께 강조해서 쓰는 것을 추천합니다. 예를 들어, 멘티님은 법조계에 관심이 있다고 했는데 그렇다면 ‘법에 대한 지식과 이해력’에 더해 ‘근로기준법 및 인사 트렌드’에 대한 관심을 강조하며 ‘여러 법 및 제도 변화 이슈에 유연하게 대응해서 기획할 수 있다’고 어필할 수 있겠죠. 


Kinga


하지만 여러 역량 중에서도 채용담당자에게 파워풀하게 어필될 만한 역량이 따로 있겠죠? 사실 위에 나열한 역량들도 언급하는 게 좋지만, 실무자는 신입사원에게 저러한 역량들을 쉽게 기대하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자신 있는 역량에 더해 중요한 한 가지, ‘적극성’을 어필하는 것을 추천해요. 제가 인사 직무를 희망할 당시 현직자분들을 찾아다니며 질문했을 때 입을 모아 하신 말씀이 ‘인사팀 신입사원은 적극성이 있어야 한다’ 였습니다. 


인사 직무는 다방면으로 배워야 할 것이 많고, 시대가 변하면서 배워야 할 게 계속 늘어나기 때문에 매사에 적극적으로 나서서 직접 경험해보고, 배우고, 공부해야 직무 능력을 키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많은 사람과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현 상태에 안주하기보다 적극적으로 더 공부하는 것과 같이 말이에요.


질문이 올라온 것을 뒤늦게 보고 자기 전에 쓰는 거라 약간 횡설수설한 것 같긴 한데 최대한 빠짐없이 쓰려고 노력했습니다. 조금이라도 도움이 됐으면 좋겠네요. 추가 질문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응원할게요.


같은 직무를 다룬 글
인기 있는 글
연구/설계
약 5년 전
잇다의 멤버가 되어주세요 🚀
직무, 취업 콘텐츠를 담은   뉴스레터를 받아볼 수 있어요.
멘토에게 직접   질문할 수 있어요.
현직자 클래스를 무료로 수강할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