멘토지원
파트너스
현직자 클래스
멘토 찾기
Best 질문답변
UX 직무 경쟁력?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LG전자 · UX
약 1년 전
💬 멘티의 질문


취준을 막 시작한 27살 대학원생입니다. 대기업의 UX 기획자로 취업을 준비하고 싶어 질문드립니다. 학부시절부터 잘 맞는 적성을 찾기 위해 오래 방황했는데요, 이러닝 기획자로 일해보기도 하고 대학원에 와서 프로젝트를 참여하기도 했습니다.


©Faizur Rehman


학부생 시절 게임 UX UI를 만드는 대회에서 수상하기도 했습니다. 대학원에 와서는 기관 프로젝트에 참여했었고요. 최근 다녀온 대기업 잡페어에서는 포트폴리오 준비가 제일 중요하다고 하셨는데 아직 마땅한 스펙이나 포트폴리오는 갖추지 못한 상태라고 생각합니다.


여기서 더 필요한 스펙이나 포트폴리오, 준비 과정이나 유리한 조건 등에 대해 여쭙고 싶어요.


감사드립니다. 


💬 변민수 멘토의 답변


멘티님, 안녕하세요.


UI/UX 어떤 커리어를 기획하고 있나요?

제가 대학 졸업하고 취준생이 된 시점 또한 28살이었습니다. 저는 시각디자인 전공인데, 단순히 무언가 시각화하는 일만 하는 것이 석연치 않았습니다. 남이 만든 '왜'에 내가 설득이 되지 않는데 아무리 시각화가 전문인 입장이라고 해도 답답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어떤 일이든 '기획'을 하고 싶었습니다.


저희 아버지께선 이렇게 말씀하시더군요. 누가 갓 들어온 신입한데 기획을 맡기겠냐고요. 그런 말을 들으면 포기하란 소리처럼 들려서 한 귀로 흘리긴 했지만, 연이어 현실의 벽에 부딪히다 보니 내심 속으로 공감할 수밖에 없어 괴로웠던 과거 기억들이 떠오르네요.


“다름이 아니라 대기업의 UX 기획자로 취업을 준비하고 싶어 질문드립니다.”

 

저도 입사 전까지 마찬가지였지만, 사람들이 대기업에 대해 잘 모릅니다. 때론 저명한 교수님들도 마찬가지고요. 무슨 말이냐? 대기업은 일단 규모가 엄청 큽니다. 한 사람이 작게 쪼개진 업무를 나눠 받아 수행하다 보니 수평적으로 걸쳐서 뭔가 역량을 발휘할 업무를 할 기회가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15년, 20년 정도 지나 리더가 되고 임원이 된다면 그땐 그 엄청난 규모의 조직을 운영하는 사람이 될 수 있지만 경쟁도 있고 무엇보다 인내가 필요합니다.


반대로 스타트업과 같이 규모가 작은 조직에서는 경력이 짧더라도 기획자인 나에게 상당히 많은 무거운 짐이 짊어질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겁 없이 일을 만져보고 느껴보면서 급성장을 하길 원하시는 스타일이라면 규모가 작은 회사에서 이렇게 바로 업무에 침투하듯 하시는 게 만족도가 높으실 것입니다.


물론 반면 불안감도 큽니다. 깜냥이 들통날까 봐 조마조마하죠. 그렇기 때문에라도 공부를 계속해야 하니 저는 긍정적인 스트레스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스타트업, 중견기업, 대기업 등 여러 조직을 경험했습니다. '기획'이라는 업무를 하고 싶었던 저의 여정의 오늘을 말씀드리면, 이제 10여 년 차에 이른 저에게 비로소 왔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런 식으로 답변을 드린 이유는 이 질문을 드리고 싶어서입니다. 멘티님은 커리어의 최종 목적과 방점이 '대기업'인가요? 아니면 '기획'인가요? 질문상으로는 '대기업'인 것처럼 느껴지긴 합니다. 저는 이것부터 구분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유리하다고 봅니다.


'기획'에 방점이 찍혀있다면 저처럼 시작을 꼭 대기업에서 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TO가 적고 경쟁도 치열한 대기업 문을 비집고 꼭 들어가야 하나 싶습니다. 만약 '대기업'에 방점이 찍혀 있다면, 대기업은 그 안에서 업무 로테이션도 가능합니다. '기획'이라는 것이 특히 대기업은 기업 내부 사정이나 정보에 대해 빠삭해야 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죠. 기업의 순리나 경력을 어느 정도 쌓아 업계에 대한 안목이 생긴 이후, 조직 내부에서 기획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곳으로 이동하는 방법도 고려해 봄 직하답니다.


뭘 해도 경쟁이 있고, 뭘 해도 내 뜻대로만 되진 않을 것입니다. 주의가 필요한 것은, 너무 바늘구멍과 같은 기회만을 바라보며 더 빠른 지름길이나 쪽문이 보임에도 놓치는 우를 범하진 않으셨으면 합니다.


©Sigmund


UI/UX 포트폴리오. 타협점을 찾아야 합니다


“최근 대기업 잡페어에서 상담받은 바로는 포트폴리오 준비가 제일 중요하다고 하셨는데 아직 마땅한 스펙이나 포트폴리오는 갖추지 못한 상태라고 생각합니다.”


포트폴리오 역시 앞선 공채 제도와 마찬가지입니다. 몇백 대 1의 경쟁을 뚫는 일이기 때문에 솔직히 운이 더 많이 작용한다고 생각합니다. 포트폴리오가 중요하겠지만 수백 명의 포트폴리오를 인사담당자나 실무자 면접관들이 과연 얼마나 자세히 살펴볼 수 있을까요? 예를 들어, 지원자가 예상보다 많을 때 이를 검토할 사람을 늘려준다던가, 인사담당자 인당 지원자 수를 관리할까요? 아닙니다. 그렇다면 제한된 시간, 자원 안에서 감당하기 힘든 정보량을 대체 어떻게 소화할까요? 묘책이 있을까요? 결국 훑어볼 수밖에 없고, 그 과정에서 누가 눈에 띄느냐가 될 수밖에 없습니다. 이게 실력이라면 실력이기도 하나, 운이 참 많이 작용하기도 합니다.


계속 운을 이야기하니 맥이 빠질 수도 있겠습니다. 드리고 싶은 말씀은 취업 준비의 가성비를 생각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내가 들인 노력을 고스란히 면접관과 인사담당자가 봐주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포트폴리오뿐만 아니라 자소서나 다른 제출 서류 모두 마찬가지입니다. 평이하면 묻히고, 너무 튀면 노이즈고, 무난해도 안전한 게 아니며, 너무 잘해도 충분하게 읽히지 않을 수 있습니다. '포트폴리오 준비가 제일 중요하다'라는 말이 있다만 너무 웰메이드하게 만드려는 태도를 갖거나 스킬에 집중하는 건 비효율일 수 있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Sean Pollock


업계 이해와 실무 경험이 경쟁력입니다


“여기서 더 필요한 스펙이나 포트폴리오, 준비 과정이나 유리한 조건 등에 대해 여쭙고 싶어요.”


유리한 조건이 뭔지 알려면 유리한 조건의 '기준'을 알면 됩니다. 예를 들어 볼까요? 저는 현재 자동차 전장 관련 UI/UX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기대하는 UX 업무와는 약간 결이 다른 일인데,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자동차 업계에 대한 이해'입니다. 


저도 처음에 매우 매우 당황스러운 순간이 많았는데, 생각보다 오래된 커뮤니케이션 방식이나 기형적인 프로세스도 있었습니다. 같은 메일을 봐도 기존에 제가 가진 기준으로 해석해서는 오히려 엇나가는 경우가 더 많았답니다. 시간이 지나고 적응이 되고,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감을 잡을 수 있는데, 그 이후 처음 들어온 분들을 보니까 저랑 똑같이 하더군요. 근데 신기한 건, 같은 프로젝트에서 개발자로 일하셨던 분들이라든가 연관된 일을 해보신 경우는 그 과정을 거쳤기 때문에 초기 적응이 빠르고 일하기가 훨씬 수월하더라는 겁니다.


이런 상황에서 새로운 지원자에게 유리한 조건이란 무엇일까요? 다시, 그 유리한 조건의 '기준'은 무엇일까요? 제가 제시하는 기준은 '업계에 대한 이해와 실무 경험'입니다. 이런 기준을 갖게 되면 이제 그것만을 생각하며 제공된 자료들을 보게 됩니다. 


이러한 기준은 업계마다 회사마다 조직마다 조금씩 다를 것입니다. 하다못해, 너무 이직이 잦고 퇴사가 많은 조직이라면 오래 일해줄 사람처럼 보이는 것이 유리한 조건이 될 수 있습니다. 대학원 석사 진학 시 교수님들은 그 지원자가 그 동안 무엇을 했는지에 대한 전문성도 중요하게 생각하면서도 동시에, 연구실 조교나 연구원으로 더 많을 일을 도와줄 풀타임 지원자인지 여부에 더 가중치를 두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저도 과거에 같은 생각을 했습니다. 소위 '무적의 포트폴리오'를 꿈꾼 적도 있습니다. 근데 그런 것은 없습니다. 이유는 유리한 조건의 '기준'이 같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런 절대적인 스펙이나 유리한 조건을 갖고자 탐을 내는 근본적인 이유는 '불안'입니다. 불안하기 때문에 확실한 것을 손에 넣고 싶은 심리의 발현인 것이죠. 결국 진짜 처방은 바로 그 '불안'을 잠재우는 것에 있습니다. 


무엇이 더 유리한 조건인가? 이 질문에 대한 본질적인 해소법은 내가 지원하고 싶은 업계, 회사, 조직이 실제로 우위를 두는 '기준'이 무엇인가를 아는 것에 있습니다. 허나 어렵습니다. 내부 정보를 밖에서는 알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이걸 알기 위해서는 지금처럼 현직자 멘토에게 물어보셔도 좋고, 스스로가 업계 사람이 되어 업계 사람들끼리만 통용되는 정보의 네트워크에 일원이 되는 것이 방법입니다.


답변이 어떠셨나 모르겠네요. 저는 소위 말하는 '꿀팁'이라든가 '방법론' 측면의 정보 제공보다는 제 경험에 입각해서 질문을 보다 정교화 하실 수 있도록 돕는 것에 초점을 맞춰 멘토링을 하는 편입니다. 그러니 원하시는 답을 얻지 못하셨을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대기업은 기업 규모가 큰 만큼 그 안에 스타트업, 중소기업 등 여러 회사의 연합체나 다름없습니다. 그러니 대기업을 하나의 단위로 묶어서 보려 하면 괴롭습니다. 잘게 쪼개서 원하는 회사, 사업부, 조직을 겨냥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니 대상을 쪼개서 접근을 해보신다면 좋을 것 같고, 혹시라도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부분이 있을 경우 얼마든지 재질문 주셔도 좋습니다. 멘티님 취업도 봄처럼 만개했으면 좋겠습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친절하고 성의있는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현실적인 조언으로 많은 참고가 되었어요. 


멘토의 응원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궁금한 게 있으시면 언제든 또 물어보시길 바랍니다. 커리어는 장기전이고 특히 기획, UX 같은 분야처럼 연관 분야나 다뤄야 하는 지식이 방대하면 더더욱 그렇습니다. 기회가 있다면 부지런히 시도하시되 취업자존감이 다치지 않게 관리 잘 하신다면 좋은 방향으로 풀리실 겁니다. 그럼 파이팅. 


변민수 멘토
LG전자 · UX
서비스 기획/UI, UX
-
★★★ LG전자 디자인 전형에 관한 질의응답은 공정성 이슈로 당분간 진행하지 않고자 합니다. ‘부지런히 현업 담당자들로부터 정보를 모으라' 했던 조언이 무색해지게 되었지만, 원칙에 우선한 자체적인 결정이니 양해 부탁 드립니다. (23년 3월 30일 업데이트) ★★★
-
【 간략한 소개 】
◎ 전공 ➠ 시각디자인 학부 / UX Lab. 석사
◎ 경력 ➠ 12년차 UXer 프로페셔널 @LGE
◎ 멘토 ➠ '잇다' 유일 UX 전문 명예멘토 (2016.10~)
◎ 저자 ➠ 『UX 디자이너로 일하고 있습니다』 집필
◎ 링크 ➠ https://litt.ly/uxer
-
【 멘토 활용법 | 질문 잘하는 요령 】
① 멘티님 고민, 상황, 배경 설명은 구체적으로
ㅤ ➠ 답변 퀄리티 업그레이드!
② 지원희망 회사, 부서, 직무(UI, 기획 등) 명시
ㅤ ➠ 개인 맞춤답변으로 보답!
ㅤㅤㅤ❅ 단, LG 내부 민감성 질문에는 답변 불가!
③ 포트폴리오 피드백 요청 시
ㅤ ➠ 웹, 노션, 구글 드라이브 등 전체공개로 링크 공유
ㅤㅤㅤ❅ 포트폴리오 보안은 각별히 주의하겠으나
ㅤㅤㅤㅤ 대외비 등 보안 프로젝트는 이슈 확인 필!
-
【 멘토링 철칙 】
◎ 프로젝트 보안 및 개인 비밀유지는 철저히 준수 ✔
◎ 부정청탁 금지 ✘ ➠ 정답을 스스로 찾도록 격려 ✔
◎ 국소적 피드백 ✘ ➠ 당락에 영향을 주는 큰그림 ✔
◎ 아름다운 답변 ✘ ➠ 현업 관점에서 현실적 조언 ✔
◎ 멋부리는 답변 ✘ ➠ 공감을 토대로 정성껏 작성 ✔
-
【 멘티님들께 바라는 것 】
적어도 저의 멘토링은 절대 재능기부가 아닙니다.
저의 답변으로 도움을 받으셨다면, 다음 두 가지 대가를 요구합니다.
① Don't pay back!
ㅤ _ 사례는 정중히 사양합니다. 대신 좋은 소식과 근황은 꼭 알려주세요. 멘토링 활동 지속에 큰 힘이 됩니다. 물론 추가질문도 얼마든지 좋습니다!
② Pay it forward!
ㅤ _ 훗날 멘토가 되어 조언이 절실한 멘티님들을 저처럼 도와주세요. 선순환을 통한 업계 발전에 이바지해주시면 저는 족합니다!
같은 직무를 다룬 글
서비스 기획/UI, UX
약 5년 전
서비스 기획/UI, UX
약 5년 전
인기 있는 글
연구/설계
약 5년 전
잇다의 멤버가 되어주세요 🚀
직무, 취업 콘텐츠를 담은   뉴스레터를 받아볼 수 있어요.
멘토에게 직접   질문할 수 있어요.
현직자 클래스를 무료로 수강할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