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티켓 내역
  • 회원가입
  • 로그인
대학교육 멘토지원
로그인
홈 클래스 LIVE 멘토 콘텐츠
#유통/무역/구매 #직무

SCM 직무는 수익 극대화를 위해 존재해요!

성노상 멘토
Dole Korea · 물류팀

안녕하세요 멘토님! SCM 직무를 목표로 하는 산업공학과 출신 취준생 멘티입니다. 운이 좋아 이번에 C사 (식품회사) 면접을 보게 되었는데, SCM 관련 책을 읽고 조사를 해도 직무를 명확하게 이해하기가 어렵습니다. 궁금한 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one photo


1. 식품 산업에서 SCM 직무는 주로 어떤 업무를 하나요?

2. SCM 직무의 핵심 역량은 무엇인가요? 그리고 이 분야의 미래 비전도 알려주시면 좋겠습니다.

3. SCM 직무에 요구되는 소통 능력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4. 제가 여러 회사에서 일해본 경험이 있는데요. 예전에 고객 데이터를 분석하며 기른 데이터 역량, 생산팀에서 일하며 키운 현장 소통능력을 SCM 업무와 어떻게 연결 지어 어필하는 것이 괜찮을까요?

적다 보니 질문이 많아져서 죄송합니다. 바쁘시겠지만 답변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멘토님의 소중한 조언 기다리겠습니다!


성노상 멘토의 답변


안녕하세요. 상당히 방대한 질문들을 주셔서 살짝 놀랐습니다. 그만큼 면접을 앞두고 열심히 준비하고 있다는 거겠죠? 도움이 될 수 있게 제가 아는 선에서 최대한 답변하겠습니다.

ⓒHelloRF Zcool


SCM 직무는 수익 극대화를 위해 존재
일단 SCM 직무가 어떤 일을 하는지 알아볼게요. SCM의 목표는 재화의 안정적인 공급과 정확한 수요 예측을 통해 기업 비용을 최소화하고, 수익을 극대화하는 데 일조하는 겁니다. 쉽게 말하자면, 
최대한 낭비를 줄여서 효율적인 경영을 할 수 있게 도와주는 거예요.

이를 위해
SCM은 상품의 소싱부터 생산(혹은 구매나 수입), 물류관리(보관 및 운송), 최종 납품까지 광범위한 프로세스를 담당합니다. 또한, 회사 규모에 따라 SCM 안에서도 팀이 나뉘어 있는 경우가 있고, 합쳐져 있는 곳도 있습니다.

SCM이 각각 분리된 경우 구매팀, 물류팀, 무역팀 정도로 나눌 수 있겠네요. 합쳐져 있으면 보통 SCM 팀이라고 부르며 그 안에 각각의 담당자들이 존재하게 됩니다.

제가 C사의 조직도를 정확히 모르겠지만, 아마 대기업이라서 SCM 안에서 업무에 따라 부서가 구분되어 있을 겁니다. 멘티님이 산업공학을 전공하셨다면 구매, 물류, 무역 부분보다는 수요예측(SCP)이나 SCM 구조 개선, 시스템 설계 쪽에서 강점이 있겠네요.

ⓒnattanan726


SCM의 업무, 구체적인 케이스로 설명!
식품 산업에서 SCM이 하는 일은 다른 업계와 크게 다르지 않고,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상품 소싱 - 소비자 사이의 전달과정을 담당합니다.

저는 물류를 관리하는 일을 하고 있는데, 여기에는 재고 관리, 물류 운영, 기획, 시스템 개선 등의 세부 업무가 포함됩니다. 직무에 대한 멘티님의 이해를 돕기 위해 업무를 케이스별로 나눠서 구체적으로 말씀드리겠습니다.

● 수입 업무 : 현지 상품의 소싱부터 수입까지 상품 원가를 분석합니다. 그리고 유리한 무역조건을 확인해 국내 수입, 통관 업무를 담당합니다.

● 물류 업무 : 수입 완료된 상품의 보관, 소비자 납품을 위한 수배송 운영을 합니다. 세부 담당에 따라 물류 기획(물류센터 구축 및 건립, 물류사업 방향성 보고)의 업무까지 할 수 있습니다.

● 수요 분석과 예측, 생산량 결정 업무 : 입출고 추이, 시장, 산업, 이벤트를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적정 생산량과 물류 거점별 재고분할 계획을 수립합니다.

● 물류시스템 개선을 위한 IT 업무 : 시스템 개발자와 함께 SCM 시스템의 개선 요소를 탐색합니다. 그리고 시스템 설계에 개입해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시스템을 만들어냅니다.

ⓒmojo cp


SCM 직무의 핵심 역량과 비전
SCM 직무가 무슨 일을 하는지 자세하게 알아봤으니 필요 역량까지 다뤄보겠습니다.

먼저 SCM은 소싱부터 최종 소비자까지 굉장히 광범위한 영역에 관여하고 있기 때문에
유관부서와의 소통 능력과 넓은 통찰력, 단계별 문제해결 능력이 중요합니다.

물론 어떤 회사와 선배를 만나고, 어떤 시스템을 사용하게 되는지에 따라 필요한 역량이 달라질 수는 있습니다.

그래도 어떤 회사에 가든지 기업이라는
관료 조직 속에서는 상호 존중하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많은 시간을 동료들과 부대끼며 보내게 되는데, 조화롭게 생활하지 않으면 업무를 할 수가 없으니까요.

또한, SCM 직무의 비전도 물어보셨는데요. 어느 회사든 규모와 상관없이 SCM 업무는 존재합니다. 비록 SCM 팀이 명시되어 있지 않다고 해도 기업을 경영하려면 해당 업무는 무조건 필요해요.

수요가 항상 존재하고, 전문성이 있기 때문에 멘티님이 경력만 잘 쌓으신다면 일할 수 있는 회사는 늘 존재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ASDF_MEDIA


SCM에 요구되는 소통 능력은?
SCM 직무에서 요구되는 소통 능력은 유관부서와의 협업을 의미합니다. 실무를 하다 보면, 팀 내부에서 이슈가 발생했을 때 정보를 공유하고 신속하게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이를 영업부서 같은 다른 팀에 전달해 유기적으로 회사가 움직일 수 있게 소통하는 게 정말 필요합니다.

아무래도 SCM 팀이 광범위한 프로세스를 담당하기 때문에 회사 생리를 가장 잘 이해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필요한 경우 다른 부서에 대안을 제시하고, 협업하는 일이 많습니다. SCM 업무를 잘하려면 내 일만 하는 것이 아니고, 적극적인 협업과 소통 능력을 갖춰야 합니다.

ⓒKonstantin Chagin


데이터 분석과 현장 경험을 SCM과 어떻게 연결?
멘티님께서는 다양한 경험을 많이 하신 것 같아요. 언급하신 데이터 분석 역량과 현장 소통 능력은 모두 SCM 직무와 연결성이 있습니다.

먼저
데이터 분석 역량은 수요 예측 업무에 사용됩니다. 수요 예측은 방대한 입출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하게 됩니다. 데이터를 분석하는 역량이 있다면 당연히 도움이 될 거예요.

또한,
현장 소통능력은 공급관리 분야에 필요한 역량입니다. 계획대로 생산이 되지 않는 경우 결국 현장에 문제가 있고, 이는 소통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공장에 원재료를 일정량 투입한다고 반드시 수율대로 생산이 되지는 않습니다. 인간이 하는 일이니까요. 그래서 현장경험과 소통능력이 있다면 현장의 담당자들과 소통하면서 공급 리스크 관리나 문제해결을 수월하게 할 수 있습니다.

차근차근 질문에 답변을 드렸습니다. SCM 직무가 워낙 방대하고 다양해서 좀 더 구체적으로 준비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 궁금하시다면 다시 질문해주세요.

답변이 궁금한가요?
지금 무료로 확인하세요!
답변 보기
©모든 저작권은 해당 콘텐츠 제공자 또는 해당 콘텐츠 제공자와 잇다가 공동으로 보유하고 있으며, 콘텐츠의 편집 및 전송권은 잇다가 가지고 있습니다.
9
유통/무역/구매
성노상 멘토
Dole Korea · 물류팀
지방대 출신 힘냅시다~!
더보기
#직무 #면접 #진로 #기타 #회사생활 #이직 #자소서
취업고민 즉문즉답 온라인 클래스 클래스 더보기
서지애 멘토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4.86 (22)
종료
공사/공기업 · 직무 특강
공공기관 입사준비부터 실무까지! 공공기관에 입사하면 생기는 일

2023.1.19(목) 19:00
온라인
숭실대학교
안정민 멘토
금호타이어
4.9 (20)
종료
생산/품질/제조 · 직무 특강
[이공계 직무 멘토링 8년차] 제조업 품질 담당자와 함께하는 "생산/품질" 직무 이해하기

2023.1.10(화) 19:00
온라인
숭실대학교
조영무 멘토
IBM
5.0 (4)
종료
영업/영업관리 · 직무 특강
무작정 취업? 하지 마세요! 현명하게 커리어/직무를 선택하고, 회사 생활하는 시크릿을 알려드려요!

2023.1.6(금) 19:00
온라인
2022 한국외국어대학교(서울)
이정열 멘토
Philips Korea(ex P&G)
4.95 (43)
종료
마케팅/MD · 직무 특강
온라인 영업/마케팅 분야에서 커리어를 발전해나갈 수 있는 Insight를 알려드려요!

2023.1.5(목) 19:00
온라인
2022 한국외국어대학교(서울)
양희재 멘토
아마존웹서비스
4.67 (6)
종료
영업/영업관리 · 직무 특강
가치 있는 스토리와 진정성으로 문과생이 외국계 IT기업 B2B영업 담당자가 되기까지!

2023.1.4(수) 19:00
온라인
2022 한국외국어대학교(서울)
클래스 더보기
함께 보면 좋은 콘텐츠 콘텐츠 더보기
유통/무역/구매
면세점 물류와 영업 직무의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면세점 물류에는 다양한 세부 직무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현직자 멘토님께서 느끼시는 면세점 사업에서 물류와 영업을 구분하는 기준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면세점 물류, 영업은 무슨 차이가 있고, 각각 어떤 업무를 하며, 필요로 하는 신입사원의 경험은 무엇인지 멘토님께 여쭤보고 싶습니다.
김현우 멘토
前 에스엠면세점 · 상품기획부
21
약 4년 전
유통/무역/구매
어학 실력이 뛰어나면 구매 업무에 도움이 되나요?
구매 직무를 희망하는 취준생입니다. 중국에서 대학교를 졸업했고, 국제정치학과 경제학을 복수전공을 했어요. 그러다보니 어학을 강점삼아 해외영업과 구매 직무를 노리고 있는데, 구매팀은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 매우 궁금합니다. 그리고 어학에 강점이 있으면 어학이 실무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 궁금합니다.
김종규 멘토
KCC건설 · 구매부
49
약 4년 전
유통/무역/구매
편의점 면접 준비, 업계의 전반적인 정보를 알고 싶습니다
어학 계열을 전공한 취준생입니다. 이번에 편의점 회사의 서류 전형을 통과해 면접을 보게 됐습니다. 면접 준비를 하면서 여러 궁금증이 생겼는데, 현직에 계신 분께 직접 여쭤보고 싶어 이렇게 글을 남기게 됐습니다. 제 경험이 면접에서 경쟁력이 있을지 조언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멘토
유통/무역/구매
15
약 4년 전
유통/무역/구매
아직 학생인데 물류 관련 경험은 어떻게 쌓아야 하나요?
전반적인 물류 운영과 *SCM 직무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4학년 입니다. 물류 업계 특성상 관련 경험이 있는 게 큰 강점이 된다고 알고 있습니다. 저는 아직 물류 관련 경험이 하나도 없는데요. 학생으로서 이러한 단점을 어떻게 보완해야 할까요? 현직자 멘토 님의 생생한 조언이 듣고 싶습니다.
손상민 멘토
로지스올(LOGISALL) · SCM본부
62
약 4년 전
콘텐츠 더보기

Footer

가치 있는 커리어 경험을 연결합니다.
We connect with valuable work experience.
  • 온라인 클래스
  • 실시간 클래스 후기
  • 🚀 오리지널 클래스
  • 멘토 찾기
  • 멘토 지원하기
  • 업데이트 노트
  • 자주하는 질문
  • 문의하기
  • B2B 대학교육 서비스

© 2023 잇다, Inc. All rights reserved.

회사소개 |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네이버 블로그 |
브런치
대표번호: 02-2653-1022 (10:00 ~ 19:00) / 점심시간: 13:00~14:00 (주말 및 공휴일 휴무)
㈜레디앤스타트 | 사업자등록번호 : 117-81-82177 | 대표 : 조윤진 서울 종로구 종로1길 50 더케이트윈타워 B동 3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