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로그인
대학교육 멘토지원
로그인
홈 클래스 LIVE 멘토 콘텐츠
희망 직무 현직자의 취업 꿀팁 받으세요 🍯
직무 투표 시작 →
#연구/설계 #진로

제약회사 영업직 멘티의 고민, “비전공자이지만 CRA로 이직하고 싶어요”

손혁준 멘토
한국 화이자 · 항암제 사업부 메디컬 / Oncology Medical Affairs

안녕하세요, 멘토님! 외국계 제약회사에서 영업 직무로 일하고 있는 멘티입니다.


대학 때는 언어학을 전공했는데요. 취업을 준비하며 제약 영업에 관심이 생겼고, 현재 순환기 의약품 영업 파트에서 6개월째 근무 중이에요. 일을 하다 보니 ‘과연 이 일을 계속할 수 있을까’하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10년 후에 이 분야에 전문성을 갖췄다고 말할 수 있을지도 자신이 없고요.


이런저런 고민하던 중에 CRA(Clinical Research Associate·임상시험연구원) 직무에 관심을 갖게 됐습니다. 현직으로 일하고 계신 멘토님께 관련해서 몇 가지 여쭙고 싶어서요! 제가 궁금한 건 아래의 세 가지입니다.

 

©️pexels


1. 보통 CRA의 경우 약대, 간호학, 생명공학 등의 전공자를 우대하더라고요. 저 같은 문과생도 CRA 취업이 현실적으로 가능할까요?


2. 제약영업 경력이 취업에 도움이 될까요? 혹시 경력 인정이 된다면, 최소 몇 년부터 인정하는 추세인가요?


3. 해외에서 10년 간 거주한 적이 있어 영어가 유창한 편이에요. 외국어 실력이 취업에 어느 정도로 도움이 될까요? 

 

업무로 많이 바쁘실 텐데 시간 내어 읽어주셔서 감사해요. 세 가지 질문 외에도 제가 좀 더 고민해볼 지점이 있다면 함께 알려주세요! 준비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답변 부탁드릴게요. 감사합니다. 


손혁준 멘토의 답변


안녕하세요, 멘티님. 먼저 질문해주셔서 감사하다는 말을 전하고 싶어요. 부족한 부분이 있겠지만, 최선을 다해 멘티님이 궁금하신 부분에 대해 답변드려 볼게요!


©️pexels


문과 출신도 CRA가 될 수 있을까요?

말씀하신 것처럼 CRA는 전공자를 우대해요. 그중에서도 간호사 출신인 경우가 직업 특성상 가장 근접한 실무 경험자라고 볼 수 있죠. EMR1) 리뷰 능력이 필요하거든요.


그 외에 약사 출신인 경우 약물 매커니즘 접근성에서 기대하는 바가 있을 수도 있지만, CRA 업무에서는 크게 중요하지 않아요. 생물학 관련 출신도 역시나 동일하고요.


물론 종종 문과 출신인 분들이 계세요. 다만 전공 지식이 상대적으로 미흡한 부분이 있어 질환, 약물 등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 편에 속하죠. 특히 영문 질환을 잘 알지 못하고, 차트 리뷰에 다소 미숙하기도 하고요.


멘티님의 경우엔 문과 출신이긴 하지만, 현재 하고 계신 업무가 CRA 지원 시 메리트가 될 수 있어요. 제약사 직원으로 일하고 계시니, 기본 약물이나 질환에 대한 이해도가 상대적으로 높을 것 같아서요. 이 부분이 강점이 될 수 있어요.


물론 실제로 일을 하는 과정에서 질환명이나 매커니즘에 대해선 추가 공부가 어느 정도 필요하겠죠?


©️LightField Studios


제약 영업 경력, CRA 신입 지원 시 메리트가 있을까요?

메리트가 될 수 있는 최소 경력이라는 건 딱히 없을 듯해요. 신입으로 지원해야 하므로, 지원이 빠르면 빠를수록 좋죠. 이 직무도 신입을 뽑을 때 나이를 중요시 하거든요.


제약회사 영업 직무 출신인 분들이 종종 계세요. 그분들의 강점은 역시 교수님들이나 연구 간호사 분들을 만났을 때 수월하게 커뮤니케이션을 이끌어간다는 점인데요. 개시 모임이나 기타  모임에서 필요한 발표를 잘 하는 것도 장점으로 꼽혀요. 게다가 업무 시 약물을 접해본 적이 있어 이해도가 높죠.


이러한 부분을 어필함과 동시에 영업직을 왜 그만 두었는지에 대한 타당한 이유를 준비하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거예요.

 

©️freepik


가장 큰 메리트! 영어 실력을 어필하세요

영어 실력은 CRA 직무에서 가장 큰 메리트가 될 수 있는 요소입니다. 요즘 글로벌 임상을 많이 진행해서 해외 담당자들과의 영어 커뮤니케이션이 필수거든요. 멘티님이 갖고 계신 역량 중 가장 적극적으로 어필해야 할 부분으로 꼽을 수 있겠네요.

 

제 생각엔, 멘티님의 경우 가능하다면 글로벌 CRO2)의 CRA로 입사하는 게 가장 좋은 방법이 될 것 같아요. 하지만 글로벌 CRO에서 신입 CRA를 뽑는 경우가 많지 않아 공고를 계속해서 확인해야 하는 부담이 있지요. 공고가 뜨면 바로 지원할 수 있도록 미리 준비해 놓는 것을 추천 할게요.


앞에서도 한 번 말씀드렸지만, CRA 직무도 신입 지원 시 나이를 굉장히 많이 보는 편이에요. 조금이라도 어릴 때 이직을 준비하는 게 좋겠지만, 이 분야가 신입 사원을 거의 뽑지 않는 추세라 조심스럽게 준비할 필요가 있어요. 지금 다니고 계신 회사를 미리 퇴사하고 준비에 올인하는 식의 방식은 추천하고 싶지 않습니다.


국내 CRO 혹은 제약사의 경우에도 신입을 뽑는 경우가 있으니까요. 적극적으로 지원해 보시기를 추천합니다. 영어 실력이 탄탄하시니 합격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을 거예요.


이 분야는 관련 경력을 쌓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도 잊지 마셨으면 합니다. 규모가 작고, 이름이 잘 알려지지 않은 회사라고 하더라도 우선 입사해 CRA로 2년 정도 경력을 쌓는 방법도 고려해보세요. 메이저 회사로 이직이 언제든 가능하니까요.


질문에 충분히 답변이 되었을까요?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또 질문해주세요! 감사합니다.





1) EMR : Electronic Medical Record. 전자의무기록으로서 모든 의료기록을 전자문서로 기록 보존하는 것을 의미한다.

2) CRO : Contract Research Organization. 위탁연구기관 혹은 임상시험수탁기관을 의미한다. 신약, 세포치료제 또는 의료기기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양자간 혹은 다자간 계약을 통해 제약-바이오산업계(고객)에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를 일컫는다.

답변이 궁금한가요?
지금 무료로 확인하세요!
답변 보기
©모든 저작권은 해당 콘텐츠 제공자 또는 해당 콘텐츠 제공자와 잇다가 공동으로 보유하고 있으며, 콘텐츠의 편집 및 전송권은 잇다가 가지고 있습니다.
7
연구/설계
손혁준 멘토
한국 화이자 · 항암제 사업부 메디컬 / Oncology Medical Affairs
1) 임상시험 분야에 대하여 궁금한점이 있거나 취업을 희망하시거나 궁금하신 분들
2) 제약사 메디컬 부서 취업을 희망하거나 궁금하신 분들
3) Medical Science Liaison (MSL) 직무에 관심이 있거나 취업을 준비하시는 분들
4) 외국계 제약사 취업과 관련하여 도움이 필요하거나 궁금하신분들
5) 석사 진학을 고민하는 졸업생분들
6) 석사 졸업 후 연구소 취업을 준비하시는 분들
그 밖에 생명과학 분야 석사 및 학사 졸업생분들의 취업과 고민과 관련하여 도움드리고 싶습니다.
더보기
#직무 #스펙 #면접 #진로 #회사생활 #이직
취업고민 즉문즉답 온라인 클래스 클래스 더보기
신재환 멘토
SK텔레콤
4.75 (4)
알림받기
마케팅/MD · 직무 멘토링
회사 골라간 마케터가 꼭 찝어 알려주는 마케팅 직무 핵심 역량과 취업 노하우

2022.6.28(화) 16:00
온라인
2022 동작구 노량진 청년일자리센터
오리지널
김민지 멘토
AI 스타트업
NEW
약 6시간 후 마감
인사/총무/노무 · 직무 특강
🚀 잇다 Original | AI 스타트업 인사 현직자가 들려주는 요즘 HR직무 이야기

2022.6.28(화) 19:00
온라인
잇다 오리지널
오리지널
유용우 멘토
네이버 NAVER
NEW
약 6시간 후 마감
IT개발 · 직무 특강
🚀 잇다 Original | Real 100% 바닥부터 올라가는 개발자 커리어의 모든 것

2022.6.28(화) 19:00
온라인
잇다 오리지널
오리지널
하가인 멘토
Motion2AI
NEW
1일 후 마감
마케팅/MD · 직무 특강
🚀 잇다 Original | 무스펙으로 외국계에서 마케팅 커리어 쌓기

2022.6.29(수) 19:00
온라인
잇다 오리지널
오리지널
김희정 멘토
JTOCOM
NEW
1일 후 마감
서비스 기획/UI, UX · 직무 특강
🚀 잇다 Original | PM/PO/서비스기획자 취업! UI,UX에 필수! 기획력을 향상 시킬 지름길을 소개합니다

2022.6.29(수) 19:00
온라인
잇다 오리지널
클래스 더보기
함께 보면 좋은 콘텐츠 콘텐츠 더보기
연구/설계
문화행정기관의 높은 문턱, 어떻게 뚫을 수 있을까요?
저는 문화예술을 통해 사람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행복하게 만들고 싶습니다. 박물관에서 일하고 싶지만 높은 진입 장벽에 좌절했습니다. 석사학위를 따야 할지 아니면 전인교육이 발달한 독일에 워킹 홀리데이를 가서 어학 공부를 한 뒤 거기서 학위를 따야 할지 고민입니다.
멘토
연구/설계
13
약 3년 전
연구/설계
대기업 올인 vs 중고신입으로 중소/중견기업 경력 이직
이번에 중견기업에 합격한 멘티입니다. 제가 원하는 직무라서 만족하는 상태이지만 원하는 목표인 대기업이 아니라 아쉽습니다. 중고신입으로라도 중견기업이 아닌 대기업에 취업할 생각인데, 중고신입 취업에 대한 멘토님의 솔직한 생각은 어떠신지 궁금합니다. 중고신입으로 대기업, 가능할까요?
최상화 멘토
삼성전자 · 생활가전사업부 선행개발팀
32
약 3년 전
연구/설계
석사 준비 중인 멘티에게 학교의 네임밸류보다 중요한 것은?
멘토님, 저는 기능성 식품에 관심이 많습니다. 지금은 그 때문에 석사를 밟을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멘토님께 이렇게 질문을 드리게 된 계기는 랩실 선택에 문제가 있기 때문입니다. 여러 정보를 찾았는데, 랩실 선택에서 중요한 두가지가 교수님의 존재와 네임밸류 정도 입니다. 멘토님이 생각하시기에 보다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허경 멘토
한국야쿠르트 중앙연구소 · 제품개발센터 유제품팀
13
약 3년 전
연구/설계
대기업 연구직 취직, 석사와 박사 대우 차이가 클까요?
멘토님. 저는 석사과정 후 대기업 취직과 박사과정 진학 중 어떤 길을 선택할지 고민하고 있는데요. 대기업 연구직으로 입사하고 싶은데, 석사와 박사의 취업이 경력 인정, 업무 등의 부분에서 차이가 큰 지 궁금합니다. 또한, 석사로 연구직에 취업하게 된다면 승진에서 한계가 있진 않을까 우려가 되는데 실제로는 어떤가요?
김준종 멘토
현대모비스 · 품질
7
약 2년 전
콘텐츠 더보기

Footer

가치 있는 커리어 경험을 연결합니다.
We connect with valuable work experience.
  • 온라인 클래스
  • 실시간 클래스 후기
  • 🚀 오리지널 클래스
  • 멘토 찾기
  • 멘토 지원하기
  • 업데이트 노트
  • 자주하는 질문
  • 문의하기
  • B2B 대학교육 서비스

© 2022 잇다, Inc. All rights reserved.

회사소개 |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네이버 블로그 |
브런치
대표번호: 02-2653-1022 (10:00 ~ 19:00) / 점심시간: 13:00~14:00 (주말 및 공휴일 휴무)
㈜레디앤스타트 | 사업자등록번호 : 117-81-82177 | 대표 : 조윤진 서울 종로구 종로1길 50 더케이트윈타워 B동 3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