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티켓 내역
  • 회원가입
  • 로그인
대학교육 멘토지원
로그인
홈 클래스 LIVE 멘토 콘텐츠
#연구/설계 #진로

공대 출신, 금융권 취업의 길

안녕하세요. 공대생의 금융권 진로가 궁금해 멘토님을 찾게 됐습니다. 현재 저는 다양한 진로를 고민 중인데요. 한 MBA 책에서 읽은 금융권 내 기술평가 분야가 상당히 흥미로웠습니다. 관련하여 질문드리겠습니다.


Ⓒmojo cp


멘토님은 공대 출신의 금융인으로 알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금융계는 상경계열 출신들이 더 많을 것 같은데요. 공대 출신도 상경계열 출신의 사원들과 같은 일을 하시나요? 아니면 공대라는 차별성을 가지고 다른 업무를 맡나요?


또 금융권으로 취업하기 위해 준비해야 할 것들이 궁금합니다. 찾아본 바로는 정량적인 스펙이 중요하다던데 어떤 것들을 준비해야 할까요? 현재 저는 영어 회화를 열심히 공부하며 한국사 고급 자격증을 준비 중입니다. 금융권 취업으로 중심을 둔다면 무엇을 더 준비하면 좋을까요?


마지막으로 멘토님께서 멘토링 가능 분야로 산업 애널리스트와 가치평가를 적으셨는데, 감이 잡히지 않아서요. 산업 애널리스트와 가치평가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해주실 수 있을까요?


아는 것이 많지 않아 질문이 너무 뜬구름 잡는 것 같네요.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멘토의 답변


안녕하세요, 멘티님. 말씀하신 대로 저는 공대 출신 전형으로 입행하여 기술평가부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제가 재직 중인 회사의 경우에는 매년 1~2명 정도의 공대 출신 전공자를 별도로 채용합니다. 연도마다 채용하는 전공은 다른데 보통 건축, 생명, 자원 공학, 기계공학, 전기 전자공학, 화학공학 등 다양한 전공자를 뽑고 있습니다.


ⒸDontree


공대 출신 전형이 따로 있지만, 업무는 비슷합니다

입사 전형이 다르더라도 결국 동일한 업무를 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대부분 은행권은 순환 보직을 기본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초기에 기술 평가나 기술 금융 등 전문화된 부서에서 근무하고 이후에는 일반 직렬과 동일한 업무를 하게 됩니다. 다만, 공대 출신은 별도로 채용한 만큼 기술과 관련한 업무에 우선 배치 합니다.


은행권에는 매우 다양한 부서들이 있습니다. 컨설팅, PF1), PEF2), 구조조정, 벤처 금융, 기업금융, 연금 등 다양한 분과가 있습니다. 기술금융도 그중 하나입니다. 기술금융 부서는 기술에 대한 심사, 평가, IP 가치평가3), 동향 보고서 작성, 기술 자문 등의 업무를 수행합니다.


금융권 취업도 기본은 같습니다

금융권 취업은 사실 큰 틀에서는 사기업과 비슷합니다. 다만 금융에 관한 관심과 열정을 더 어필하셔야겠죠. 자격증은 사람마다 상황마다 다른 자격증이 필요하기 때문에 무엇을 준비하라고 딱 잘라 말씀드리기는 어렵습니다. 단순히 자격증이 있다고 유리해지는 것도 아니라서요.


자신의 장점에 대한 이해와 입사 동기가 가장 중요하며, 기본적으로 학점, 영어 성적, 경력, 활동 등이 열정의 증명으로 뒤따라온다고 생각합니다. 자격증은 더욱 어필하고 싶은 포인트가 있을 때 필요한데, 아무래도 공대생이니 금융에 대한 관심을 어필하기 위해 하나쯤은 취득하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Chaosamran_Studio


산업 애널리스트가 하는 일은?

산업 애널리스트는 전반적인 산업에 대해 분석을 하고 평가하여 투자 및 여신 등에 도움이 되는 가이드를 주는 역할을 합니다. 실제로 기술 동향 보고서 및 산업 전망 보고서 등을 통해 투자 및 여신 등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주기도 합니다.


가치평가 업무에는 다양한 형태가 있습니다만, 저는 IP 가치평가, 기술 사업성 평가 등 기술이 가지는 경제적 가치에 대해 분석하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창조경제 기조에 따라 기업이 가진 동산, 부동산 등 물적 담보 외에도 지식재산권, 특허권 등 무형의 가치도 담보로 인정하는 추세입니다.


이때, 해당 IP가 얼마큼 가치를 가지는지 환산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이는 전문적인 평가 지식이 필요하기 때문에 저를 비롯한 공대 출신의 직원들이 해당 업무를 합니다. 기술 사업성 평가는 기업에 투자하거나 돈을 빌려주기 위해서 이 회사가 가진 기술력은 어느 정도인지, 경쟁력은 있는지, 시장 전망은 어떤지 등을 분석하여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는 업무입니다.


답변이 충분히 됐을지 모르겠습니다. 더 궁금한 것이 있다면 잇다에 또 글 남겨주세요. 멘티님을 응원합니다.



1) PF : 사업주로부터 분리된 프로젝트에 자금을 조달하는 것. 자금조달에 있어서 자금 제공자들은 프로젝트의 현금흐름을 우선 고려해 대출을 결정하고, 프로젝트에 투자한 원금과 그에 대한 수익을 돌려받는 자금구조를 의미한다.


2) PEF(private equity fund) : 사모펀드. 투자자로부터 모은 자금을 주식ㆍ채권 등에 운용하는 펀드


3) IP(Intellectual Property) 가치평가 : 지식재산권 가치평가

현직자 답변이 궁금하다면?
지금 무료로 확인하세요!
답변 보기
©모든 저작권은 해당 콘텐츠 제공자 또는 해당 콘텐츠 제공자와 잇다가 공동으로 보유하고 있으며, 콘텐츠의 편집 및 전송권은 잇다가 가지고 있습니다.
4
취업고민 즉문즉답 온라인 클래스 클래스 더보기
김현근 멘토
SK에너지
NEW
3일 후 마감
마케팅/MD · 직무 특강
영업과 마케팅의 경계에서 새로움을 만들어가다! 현직자 '마케팅' 직무 특강

2023.3.29(수) 19:00
온라인
2023 배재대학교
오진환 멘토
SKT
NEW
3일 후 마감
IT개발 · 직무 특강
AI, 로봇 서비스 개발자의 직무 특강

2023.3.29(수) 19:00
온라인
강원도일자리재단
오리지널
잇다 클래스팀 멘토
잇다(itdaa)
NEW
알림받기
서비스 · 기타
🐣앵콜!🐣삐약이 클래스 : 신입(인턴,주니어)을 위한 고민 상담소

2023.3.30(목) 19:00
온라인
잇다 오리지널
김용훈 멘토
펫프렌즈
4.88 (8)
17일 후 마감
마케팅/MD · 직무 특강
마케터들의 멘토와 함께 하는 마케팅 직무 특강

2023.4.12(수) 19:00
온라인
강원도일자리재단
이해봄 멘토
카카오브레인
4.2 (5)
17일 후 마감
IT개발 · 직무 특강
마케터로 시작해 IT업계 개발PM에서 인공지능까지! 문과생의 IT업계 취업하기

2023.4.12(수) 19:00
온라인
2023 배재대학교
클래스 더보기
함께 보면 좋은 콘텐츠 콘텐츠 더보기
연구/설계
문화행정기관의 높은 문턱, 어떻게 뚫을 수 있을까요?
저는 문화예술을 통해 사람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행복하게 만들고 싶습니다. 박물관에서 일하고 싶지만 높은 진입 장벽에 좌절했습니다. 석사학위를 따야 할지 아니면 전인교육이 발달한 독일에 워킹 홀리데이를 가서 어학 공부를 한 뒤 거기서 학위를 따야 할지 고민입니다.
멘토
연구/설계
13
약 4년 전
연구/설계
대기업 올인 vs 중고신입으로 중소/중견기업 경력 이직
이번에 중견기업에 합격한 멘티입니다. 제가 원하는 직무라서 만족하는 상태이지만 원하는 목표인 대기업이 아니라 아쉽습니다. 중고신입으로라도 중견기업이 아닌 대기업에 취업할 생각인데, 중고신입 취업에 대한 멘토님의 솔직한 생각은 어떠신지 궁금합니다. 중고신입으로 대기업, 가능할까요?
최상화 멘토
삼성전자 · 생활가전사업부 선행개발팀
34
약 4년 전
연구/설계
석사 준비 중인 멘티에게 학교의 네임밸류보다 중요한 것은?
멘토님, 저는 기능성 식품에 관심이 많습니다. 지금은 그 때문에 석사를 밟을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멘토님께 이렇게 질문을 드리게 된 계기는 랩실 선택에 문제가 있기 때문입니다. 여러 정보를 찾았는데, 랩실 선택에서 중요한 두가지가 교수님의 존재와 네임밸류 정도 입니다. 멘토님이 생각하시기에 보다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허경 멘토
한국야쿠르트 중앙연구소 · 제품개발센터 안전분석팀
13
약 3년 전
연구/설계
대기업 연구직 취직, 석사와 박사 대우 차이가 클까요?
멘토님. 저는 석사과정 후 대기업 취직과 박사과정 진학 중 어떤 길을 선택할지 고민하고 있는데요. 대기업 연구직으로 입사하고 싶은데, 석사와 박사의 취업이 경력 인정, 업무 등의 부분에서 차이가 큰 지 궁금합니다. 또한, 석사로 연구직에 취업하게 된다면 승진에서 한계가 있진 않을까 우려가 되는데 실제로는 어떤가요?
김준종 멘토
현대모비스 · 품질
7
약 3년 전
콘텐츠 더보기

Footer

가치 있는 커리어 경험을 연결합니다.
We connect with valuable work experience.
  • 온라인 클래스
  • 실시간 클래스 후기
  • 🚀 오리지널 클래스
  • 멘토 찾기
  • 멘토 지원하기
  • 자주하는 질문
  • 문의하기
  • 광고 매체 소개
  • B2B 대학교육 서비스

© 2023 잇다, Inc. All rights reserved.

회사소개 |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네이버 블로그 |
브런치
대표번호: 02-2653-1022 (10:00 ~ 19:00) / 점심시간: 13:00~14:00 (주말 및 공휴일 휴무)
㈜레디앤스타트 | 사업자등록번호 : 117-81-82177 | 대표 : 조윤진 서울 종로구 종로1길 50 더케이트윈타워 B동 3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