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로그인
명예 멘토 멘토 찾기 콘텐츠 클래스 온라인 클래스 NEW 온라인 컨퍼런스 BETA 멘토 지원하기 로그인
#전문/특수 #직무

데이터 분석 직무, 취업 계획을 피드백 받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멘토님. 저는 글로벌 융합 공학과를 졸업한 취준생입니다. 먼저 제 스펙을 간단히 밝히면, 학점은 3.98이고 2015년 H 사의 핀테크 공모전에서 최우수상을 받았습니다. 또 O2O 스타트업 기업에서 6개월간 근무하며 마케팅, 기획, 데이터 분석 업무를 했습니다.

데이터 분석이 적성에 맞아, 이쪽으로 취업을 준비하려고 합니다. 다만 조금 더 규모가 크고 체계가 잡힌 회사에서 근무하고 싶습니다.

ⒸAndrey_Popov

제가 현재 입사를 희망하는 분야를 순위별로 말씀드리면, 1순위는 시스템 통합 업체의 정보 통신 및 빅데이터 직무이고 2순위는 카드사의 핀테크 및 데이터 분석 직무, 3순위는 기타 대기업이나 외국계 기업의 마케팅 직무입니다.
 
그런데 상반기 공채를 목표로 하기엔 준비가 많이 부족하고, 데이터 분석을 더 공부하고 싶은 욕심이 생겼습니다. 그래서 하반기 공채에 초점을 맞춰 취업 계획을 세웠습니다.

먼저 데이터 분석 역량을 갖추기 위해 경영 빅데이터 분석사 2급, 오라클 OCP 자격증, SAS BASE 자격증을 취득하려고 합니다. 이 세 가지 자격증을 취득하면 데이터 분석 준전문가 시험과 SQL 개발자 시험에도 응시할 예정입니다.

외국어는 IH~AL 등급을 목표로 OPIC을 공부하고 있고 TOEIC은 다음 하반기에는 점수 유효기간이 만료돼 다시 시험을 봐야 하는 상황입니다.

Ⓒfabian grohs


데이터 분석 역량과 관련해서는, 제가 전공 수업을 통해 기본적인 프로그래밍 언어, DB, 데이터 마이닝 등을 공부했지만 여전히 부족함을 느낍니다. 그래서 데이터 분석 언어인 R과 Python에 초점을 맞춰 공부하려고 합니다.

온라인 강의를 들으며 R, Python, 머신 러닝의 개념을 처음부터 학습하고 서적, 인터넷으로 공부하며 자격증 시험과 병행할 계획입니다. 또 국가기간*전략산업 직종훈련을 통해 교육기관의 ‘Python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 및 데이터베이스 전문가 양성’과정을 수강하려고 합니다.

 구체적인 계획을 세웠지만 이렇게 준비하는 게 맞는지 확신이 없습니다. 시스템 통합 업체인 S 사의 공채를 준비하기 위해 위의 계획에서 어떤 부분을 수정 및 보완하면 좋을지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또 저는 개발이나 기술에 관한 관심보다는, 분석을 통해 얻은 인사이트를 비즈니스에 적용하고 실행하는 업무에 더 흥미가 있습니다. 이런 상황을 고려할 때 어떤 직무, 어떤 커리어 패스가 좋을지도 조언 부탁드립니다.

김인범 멘토의 답변


안녕하세요, 멘티님. 부러운 스펙을 갖추셨네요! 이미 준비는 잘하고 계신 것 같습니다. 학점이나 수상 내역은 문제 될 부분이 없어 보이고, 영어 점수는 알아서 잘 준비하시리라 생각합니다.
 
Ⓒfreepik

자격증은 선택과 집중이 필요해 보여요
다만 질문에서 말씀하신 자격증이 정말 다 필요한 건지 질문을 드리고 싶어요.
물론 자격증은 다다익선이라는 말이 있지만, 자격증을 취득하려면 그만큼 시간을 투자해야 하므로 어느 정도 선택과 집중이 필요해 보입니다.
 
예를 들어 오라클 OCP와 SQL 개발자 자격증은 데이터베이스 직군을 위해
필요할 수 있겠지만 데이터 분석 역량과 연결 짓기에는 다소 모호한 부분이 있습니다. 이 부분은 멘티님이 충분히 고민하시고 결정하시면 될 것 같아요.
 
데이터 분석의 분야를 좁혀보세요
데이터 분석 역량 부분은 더 첨언이 필요 없을 정도로 계획을 잘 세우셨어요. 많은 고민을 하고 계획을 준비하셨나 봅니다. 다만 모든 과정이 데이터 분석을 위한 기초 기술 습득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물론 이것도 필요한 과정이긴 하지만 본인이 어떤 분야의 데이터 분석을 하고 싶은지 아주 자세하지는 않더라도 윤곽을 잡아 두시면 좋습니다.
 
Ⓒwhatwolf

데이터 분석은 기술적인 요소도 있지만, 위에 언급하신 인사이트를 활용하는 업무를 하려면 관련 분야에 대한 충분한 지식과 경험이 필요합니다. 통신 분야에서는 데이터 분석 기술력 90, 도메인 지식은 60 정도 갖춘 사람
보다 기술력 60에 도메인 지식이 90인 사람이 더 합리적인 결과를 도출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분석 결과를 도출해도 이게 맞는 것인지 틀린 것인지, 만약 틀린 부분이 있다면 어떤 이유로 틀렸는지 도출하는 과정에 도메인 지식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멘티님은 개발직이나 기술직보다 분석을 통해 얻은 인사이트를 비즈니스에 활용하고 싶어 하시는데요. 그렇다면 데이터 분석 기획자 또는 데이터 분석의 전체 과정을 이끄는 PM(Product Manager)도 잘 어울리리라 생각합니다.
 
물론 S 사에 지원하는 데에도 멘티님이 세운 계획에서 크게 수정할 부분은 없다고 생각해요. 입사 과정은 수많은 변수에 의해 좌우되지만, 준비 과정과 내용만으로 본다면 문제 될 부분은 없습니다.
 
답변하면서 순서가 조금 바뀌었네요. 멘티님에게 제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혹시 추가로 질문이 있다면 또 알려주세요. 감사합니다!
 
답변이 궁금한가요?
지금 무료로 확인하세요!
답변 보기
©모든 저작권은 해당 콘텐츠 제공자 또는 해당 콘텐츠 제공자와 잇다가 공동으로 보유하고 있으며, 콘텐츠의 편집 및 전송권은 잇다가 가지고 있습니다.
6
김인범 멘토
CNCITY Energy · BigData Engineer
꿈꾸는만큼 그리고 노력하는만큼 이룰 수 있다고 믿습니다.
#IT개발
팔로우 멘토에게 질문하기
함께 보면 좋은 콘텐츠 콘텐츠 더보기
전문/특수
아마추어 작가, 구체적인 책 출판 과정이 알고 싶어요
글을 쓰는 것에 관심이 있는 27살 학생입니다. 글은 완성이 되어가지만 막상 책으로 만들려니 출판은 어떻게 해야 하나 전혀 알 수 없네요. 저 같은 이름 없는 아마추어 작가가 책을 출판하고 싶을 때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권기우 멘토
프리랜서 · 출판기획/편집
10
전문/특수
번역은 언어만 잘하면 된다? 번역가의 감각과 영역
안녕하세요, 멘토님. 이전 질문에 이어 번역 관련 추가 질문 드립니다. 이번에는 번역가로서의 전문성에 대한 고민입니다. 번약학과같은 전문 학과에서 전공한 번역가도 있겠지만 저의 경우는 비전공자이기 때문에 걱정이 됩니다. 혹시 제가 번역가가 되는 과정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강대훈 멘토
LN2K · Localization
7
전문/특수
변리사 멘토가 말하는 업계 현황과 활로
멘토님, 저는 변리사 자격에 관심이 많습니다. 스물여덟로 대학원 석사까지 마쳤습니다. 이후 구직활동을 하긴 했지만, 그저 초점 없이 방황하면서 보낸 시간이었습니다. 이대로는 안되겠다 싶어 진로 탐색을 해보고 있는데, 전문 자격을 가지고 있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여 변리사에 관심이 많아 멘토님께 질문을 드리게 되었습니다.
이창민 멘토
파이 특허 법률 사무소 · 특허팀
16
전문/특수
건설업계 사무직과 공무직, 어떤 일을 하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멘토님. 저는 건축공학과를 전공하고 부전공으로 보건을 전공했고, 2년 정도 병원에서 일하다 지금은 이직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건축 쪽 사무직 일을 하고 싶은데 지금 어떤 자격증 공부를 해야 취업에 도움이 될까요? 건축 사무직과 공무직이 하는 일도 궁금합니다.
조승우 멘토
한국건설관리공사 · 건축관리처
5
전문/특수
번역가에게 번역만큼 중요한 스킬은?
멘토님, 저는 번역가가 되고 싶습니다. 현실적인 조언을 얻을 수 있는 곳이 마땅치 않아 잇다를 이용하게 되었습니다. 궁금한 점이 몇가지 있어 질문드리고자 합니다. 우선, 번역가가 되기 위해 언어 능력 외에 필요한 능력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멘토님께서 갖고 계신 경험을 바탕으로 적절한 답변을 부탁드립니다.
강대훈 멘토
LN2K · Localization
12
전문/특수
변리사, 이 학벌과 전공으로도 괜찮을 걸까요?
멘토님. 변리사에 도전하기도 전에 제 학벌과 전공이 발목을 잡을까 걱정돼 질문드립니다. 저는 전자전기나 기계 쪽으로는 생각이 없고 신소재나 환경, 에너지 쪽으로 다중전공을 하고 싶습니다. 그런데 변리사는 전자나 기계 쪽이 훨씬 유리하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H 대 자원환경이나 신소재 학과는 변리사로서 경쟁력이 없을까요?
박세일 멘토
다옴특허법률사무소 · 대표
5
콘텐츠 더보기

멘토가 되어 보세요.

취준생, 사회초년생에게 멘토님의 커리어 경험을 공유해 보세요.
멘토 지원하기
  • 회사소개 ·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고객센터
대표번호: 02-2653-1022 (10:00 ~ 19:00) / 점심시간: 13:00~14:00 (주말 및 공휴일 휴무)
㈜레디앤스타트 | 사업자등록번호 : 117-81-82177 | 대표 : 조윤진 서울 종로구 종로 51 종로타워 23층

© 2020 itda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