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디어를 내는 일은 기획자 고유 영역이 아닙니다. 아이디어는 모두 낼 수 있고, 기획자는 오히려 아이디어를 정리하고 개발할 설계도를 만드는 작업을 한다고 보면 됩니다.
포트폴리오 준비로 경력 같은 신입이 되세요
멘티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신입보다 경력자를 더 선호하는 편입니다. 신입 두 명보다 경력자 한 명이 훨씬 효율적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경력자에 버금가는 능력을 갖추면 충분히 입사할 수 있겠지요?
실제로 제가 다니는 회사에도 2년 차, 3년 차 같은 신입 사원이 입사했습니다. 이것은 단순히 개발 관련 능력뿐만 아니라 마음가짐, 태도, 성격을 모두 포함하는 것입니다.
그럼 이제 기획자로 입사할 방법에 관해 이야기해 볼게요. 저는 게임 분야에서 일을 하므로 게임 기획에 한정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Dzhafarov Eduard
먼저 게임기획자를 구인할 때 1차로 보는 것이 포트폴리오입니다. 기획자의 포트폴리오는 기획서를 말하는 것이고요. 어느 회사든 포트폴리오를 확인하는 것은 비슷합니다만 대기업은 학력과 스펙을 먼저 보기도 합니다.
제가 다니는 회사에서 몇 달 전 기획자를 채용했는데 80여 명의 지원자 중에 70명을 포트폴리오만 보고 불합격 처리했습니다. 남은 10명 중 이력서와 희망 연봉, 레퍼런스 확인 등 종합적으로 판단해 5명만 면접 단계까지 올렸습니다. 포트폴리오가 얼마나 중요한지 아시겠죠?
멘티님은 실무 경험이 있어 약간의 가산점을 받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관련 경력을 어떻게 만들 수 있는지 물어보셨는데 신입이 경력을 쌓는 방법은 인턴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아니면 친구들과 게임을 출시해보는 방법도 있는데, 쉬운 일도 아닐뿐더러 여기에 크게 가점을 주지 않는 회사들도 있으니 참고해보세요.
ⒸThamyris Salgueiro
역기획서 쓰면서 실무를 익혀보세요
기획자가 되기 위해서는 위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포트폴리오가 제일 중요하기 때문에 평소에 지원하려는 분야의 프로그램을 보시면서 역기획서를 써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역기획서는 이미 완성된 제품을 분석해서 개발 단계의 기획서로 작성하는 것을 말합니다.
답변이 충분한지 모르겠습니다. 멘티님이 지원하려는 분야가 게임 기획이라면 역기획서든, 포트폴리오든 보고 조언 드릴 수 있으니 필요하시면 추가로 말씀해 주세요. 언제나 멘티님을 응원합니다. 힘내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