멘토지원
파트너스
현직자 클래스
멘토 찾기
Best 질문답변
제약회사 석사생 서류 광탈, 어떤 점을 개선해야 할까요?
멘토
전문/특수
약 5년 전
💬 멘티의 질문
안녕하세요. 요즘 자소서 관련 고민이 많은 취준생입니다. 

저는 학사에서 생명공학을, 석사에서 동물세포 배양을 이용한 독성시험을 공부했습니다. 졸업한 이후에는 제약회사의 QA/QC 또는 RA 직무로 지원하고 있어요. 하지만 서류조차도 통과하기 힘들어서 고민이 많습니다. 

ⒸKiattipong


자소서에서는 꼼꼼한 정리습관, 프로토콜 확립, 동물세포 배양 및 관련 프로젝트 경험 등을 어필했는데, 무엇을 개선해야 할지 잘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제가 지원하고 싶은 직무에 필요한 역량이 무엇인지도 궁금합니다. 

현직자분의 조언이 절실히 필요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최희성 멘토의 답변

안녕하세요 멘티님. 바로 답변 드리겠습니다. 

자소서 관련 질문을 주셨는데, 사실 일반적인 생각과 다르게 자소서는 취업에서 결정적인 당락을 가르지 않습니다. 특히 보수적인 채용제도를 가진 제약회사들은 더더욱 그래요. 자소서를 잘 썼다고 취업이 되거나, 못 썼다고 탈락하는 것이 아니라는 겁니다. 

따라서 멘티님의 서류 합격률이 낮은 이유는 다른 곳에 있겠죠? 제 생각에는 정성적인 부분에서 회사가 원하는 것을 콕 집어서 어필하지 못하면 서류 통과가 어려워지는 것 같아요.


ⒸSyda Productions

사실 회사가 요구하는 역량은 직무에 따라 다릅니다. 예를 들어 QC는 대부분의 제약회사에서 이화학과 미생물 파트로 나눠서 각자 관련 업무를 수행합니다. QC라고 독성시험만 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일을 하는거죠.

그렇다면 ‘저는 독성시험을 정말 잘하고 아는 것도 많습니다’라는 사람과 ‘저는 협업을 잘합니다’라고 하는 사람 중에서 실제 면접관 눈에 더 드는 사람은 후자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실무에서 수행하는 시험의 난이도가 엄청 높지도 않고, 초대졸 출신도 많이 채용하는 추세니까요. 그래서 QC를 선발할 때는 고스펙이나 풍부한 관련 지식보다 사회성과 협동 능력을 갖춘 사람을 선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면 연구직 같은 경우, 회사의 연구개발 방향과 맞는 공부를 했는지, 그 분야에 대한 지식수준은 어느 정도 인지를 더 중점적으로 봅니다. QC와 정반대죠?

결론적으로 말씀드리자면, 지원하는 직무마다 요구하는 역량과 하게 될 업무 종류, 수준이 다 다르므로 직무 특성을 고려해서 본인이 어필할 부분을 잘 선별해야 한다는 겁니다. 예시를 찬찬히 생각해보시면 이해가 될 거예요.


Ⓒfreepik


제약사라는 카테고리를 벗어나 보세요

서류 합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성적인 부분뿐만 아니라, 정량적인 부분도 회사가 원하는 기준에 맞춰야 합니다. 

사실 정량적인 부분은 회사, 부서, 파트마다 천차만별이라 정확히 특정해서 말씀드리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다만 제가 드릴 수 있는 조언은 남들보다 더 많이, 최대한 지원해 보시라는 거예요. 물론 이미 지원할 수 있는 곳은 거의 다 해보고 계시겠지만, 제약사라는 카테고리를 벗어나서 지원하는 것도 좋습니다. 

석사의 이점을 살리면 연구소, 품질평가원, 비임상전문회사, 바이오 벤처 등 다양한 분야로 진입할 수 있어요. 시야를 넓히면 지원할 회사가 지금보다 두 배 이상  많아질 겁니다. 

저 역시도 취준생 시절, 제약사 몇 군데만 아는정도 였는데 제약사에서 일하다 보니 업계에서 서로 연결된 수많은 회사들이 거대한 생태계를 이루고 있고, 그 안에서 이직이 활발하다는 것을 알게 됐습니다. 따라서 너무 제약회사에만 집중하지 마시고 좀 더 다양한 곳에 지원해보세요.


ⒸKiattipong


석사 학위가 있다면 연구 개발직을 추천

사실 제가 멘티님이 어떤 사람인지 정확히 알지 못하고, 작성하신 자소서도 읽지 못해서 주제넘은 조언을 하는 것일 수도 있지만, 여러 상황을 고려했을 때 개인적으로 연구 개발직을 추천하고 싶습니다. 

앞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QC의 경우 초대졸이나 대졸 출신으로 인건비를 줄이려는 경향이 있고, QA는 QC 출신이나 학사 출신, RA는 QA 출신이나 약대생의 비율이 점점 높아지고 있어요. 멘티님은 석사 학위가 있으시니까 이 직무들보다는 연구 개발직에 도전하시는 것이 가장 취업 확률이 높아 보입니다. 

혹시 연구원이 되고 싶다는 생각이 전혀 없으시다면, 생산공장에 속한 QA/QC가 아니라 연구소에 속한 QA/QC에 지원하시는 건 어떨까요? 이렇게 별도로 존재하는 QA/QC 부서에서는 파일럿 생산 시 품질 이슈를 해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제가 드린 조언은 저의 경험과 감각에 따른 것이니 너무 진리처럼 받아들이기보다, 참고 정도로 하시고 원하는 길로 나아가기를 바랍니다. 

같은 직무를 다룬 글
인기 있는 글
연구/설계
약 5년 전
잇다의 멤버가 되어주세요 🚀
직무, 취업 콘텐츠를 담은   뉴스레터를 받아볼 수 있어요.
멘토에게 직접   질문할 수 있어요.
현직자 클래스를 무료로 수강할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