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사 학위를 취득한 분들은 일반적으로 영업장 점검이나 위생 관리 업무를 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학부를 졸업하고 위생사, 식품 기사, 컴퓨터 자격증, 어학 점수 등의 스펙을 준비해서 식품 안전 쪽에 취업하는 경우죠.
ⒸDaria Nepriakhina 학사 학위자는 주로 식품이나 위생 관련 법규를 숙지하고, 정해진 위생 평가 체크 리스트를 바탕으로 자사 영업장을 평가하고 관리하는 일을 합니다.
반면에, 석사 학위자는 이러한 업무 외에 통상적인 업무를 개선하는 연구 업무도 병행합니다. 안전 관련 공정 개선, 위생 관리 방법 개선, 안전성 확보를 위한 실험 방법 개선 및 표준화 같은 업무가 있습니다.
요즘 식품 관련 중견기업이나 대기업에서는 이러한 연구 분야까지 담당할 수 있는 사람을 선호해서 대학원생 이상 졸업자를 많이 채용하는 추세입니다. 필요 자격증은 학사든 석사든 다르지 않습니다.
ⒸDariusz Sankowski
하지만 학사든 석사든, 심지어 박사라고 하더라도, 해당 업계 제품군을 경험한 적이 없다면 전문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생산 라인과 핵심 *HACCP은현장 경험 없이 이해할 수 없습니다.
입사하면 학위에 상관없이 누구든지 각 기업의 특성과 문화에 맞도록 처음부터 업무를 배워야 합니다. 그러니 취업을 위해 특별한 경험을 만들어야 한다고 너무 부담을 느끼실 필요는 없어요.
다만, 실무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방법은 추천해 드릴 수 있습니다. 시청에서 위생 검사원으로 활동해 보거나, ‘식품의 판을 벌이다’라는 식품 가공 전문 카페에서 식품 공학과 관련된 활동이나 위생 검사 등의 경험을 쌓으면 도움이 될 거예요.
소비자의 안전을 책임지는 식품 안전 직무
식품 안전 직무의 세부 업무는 다음과 같습니다.
관계사 영업점 공장 위생 점검
위생 관련 법률 및 제도 학습
품질 안전 모니터링 및 클레임 처리
국내 및 해외의 안전 문제 모니터링
제품 및 원재료의 위해 요소 안전성 점검
안전을 위한 *이화학 미생물 분석법 개발 및 표준화
ⒸOusa Chea
안전 분야의 최우선 목표는 안전한 제품을 고객에게 전달하는 것입니다. 소비자가 우려하는 건강상의 위해 요소(병원성 미생물, *GMO, 제품 변질 요소, 이물질 등)를 차단하여 사전에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죠.
안전은 기업의 이미지, 더 나아가 기업의 존폐 여부와도 관련 있는 문제이기에 항상 최상의 수준을 유지해야 합니다. 이 때문에 고객 클레임은 가장 민감한 사안입니다.
업무 피드백은 보통 생산 클레임 저감률로 평가를 받은 뒤, 기준을 설정하여 다시 새로운 업무를 짜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자신감을 가지고 진솔하게 본인의 경험과 역량을 보여준다면 원하시는 곳에 취업할 수 있을 거예요. 면접에서 떨어졌다고 주눅 들지 마시고 더 당당하게 취업 준비에 임하시기 바랍니다.
*HACCP(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s, 해썹) : 생산-제조-유통의 전과정에서 식품 위생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해 요소를 분석하고, 이러한 위해 요소를 제거하거나 안전성을 확보하는 등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식품 안전을 관리하는 제도
*이화학(理化學) : 물리학과 화학을 아울러 이르는 말
*GMO(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 기존의 생물체에 다른 생물체의 유전자를 끼워 넣음으로써 기존의 생물체에 존재하지 않던 새로운 성질을 갖도록 하는 유전자 변형 생물
대한민국 국민에게 신선한 제품과 건강한 습관을 전합니다.
- 한국야쿠르트 중앙연구소 제품개발센터 안전분석팀 허경 책임연구원-
주요 멘토링 분야 :
식품직무특성과 실전취업전략
식품(유제품) 개발 프로세스 및 전략
식품연구원의 핵심가치 및 자기개발
유산균과 건강
가치있는 삶을 위한 "삶의 중심잡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