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사무
#직무
자소서 지원동기에 꼭 포함돼야 하는 3요소
올해 산업경영공학과를 졸업한 공대생입니다. 어렸을 때부터 숫자가 좋아서 그냥 계산기를 막 두드리면서 계산해보고, 차를 타고 갈 때는 앞차 번호판을 보면서 숫자를 나누곤 했어요.
수학을 잘하는 건 아니지만 그래도 좋아서 고등학교 때 망설임 없이 이과를 선택했고 성적에 맞춰 대학에 진학했습니다.
대학생활을 하면서 그저 통계 관련 일하면 참 좋겠다는 생각뿐 취업에 대한 관심도 없었고 노력을 하지 않았어요. 단지 4학년 말에 사회조사분석사 2급을 취득한 게 전부에요.
ⓒashley edwards
자격증 때문에 SPSS 프로그램1)을 공부했는데, 지금까지 그렇게 재밌고 신나게 공부했던 적은 처음이었던 것 같아요. 성적도 만점이었어요
때마침 얼마 전에 지역 내 고용센터에서 데이터 가공 및 분석하는 계약직 공고가 올라왔어요. 5개월이지만 정말 하고 싶어요. 사회조사분석사 자격증을 우대해주기도 하고요.
그런데 막상 자기소개서를 쓰려니 막막합니다. 특히 지원동기가요. 특정 이유 없이 그저 숫자 다루는 게 너무 좋고 이 일이 해보고 싶은데 이럴 땐 어떻게 스토리텔링을 하면 좋을까요?
참고로 전공수업 과제를 하면서 SPSS를 사용한 적이 있어요. 성형수술에 관한 조사를 하면서요. 워낙 오래전이라 잘 기억이 안 나는데 이걸 활용할 수 있을까요?
바쁘시겠지만 멘토님의 조언이 절실합니다. 감사합니다.
1)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사회과학의 자료분석을 위해서 만들어진 통계 컴퓨터 프로그램 패키지.
황정덕 멘토의 답변
안녕하세요. 멘토로 가입하고 받은 첫 질문 글이네요. 반갑습니다.
멘티님이 단지 숫자 다루는 게 좋고 이 일이 해보고 싶어서 고용센터에 지원하고 싶다고 했는데 다소 안일한 접근인 것 같습니다. 우선 기업에서 지원 동기를 요구하는 이유를 잘못 이해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TatsianaTur
지원동기는 지원하는 회사가 좋은 이유를 쓰는 곳이 아닙니다. 상당히 많은 지원자의 자기소개서를 보면 홈페이지 및 각종 언론 보도를 통해 회사가 현재 성장세에 있다거나 혹은 기타 정량적 지표상의 좋은 점들을 칭찬합니다. 또한, 내부 조직문화 같은 정성적 측면을 본인 가치관과의 일치시켜 이야기하는 경우도 많은 것 같아요.
채용담당자의 입장에서 한 번 봅시다. 채용은 일할 사람을 뽑는 일련의 과정입니다. 로열티를 드러낼 때 수집된 정보를 그대로 카피하는 것이 아니라 지원자의 생각을 보여줘야 합니다.
현재 회사가 어떤 상황에 처해 있다면, 이 회사가 나아가야 할 길 혹은 주어진 과제가 무엇인지를 이해하는 것이 선행돼야겠죠. 그다음 회사의 비전 실현을 위해 내가 어떻게 이바지할 것인가를 지원직무와 연계해 쓰는 것. 이게 회사가 원하는 지원 동기 입니다.
회사가 원하는 지원 동기에 들어가야 할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내가 지원한 기업, 직무에서 성취해야 할 목표는 무엇인가?
2. 그 목표를 설정하게 된 이유(산업 환경 및 사회적 배경 등)는 무엇이며 목표 달성을 위해 어떻게 이바지할 것인가?
3. 그 일을 하기 위해 어떤 역량을 갖췄는가? : 여기서 멘티님의 성형수술 관련 과거 통계 경험을 활용할 수 있겠죠.
Ⓒsebra
그렇다면 멘티님이 일하고 싶은 고용센터에서는 어떤 데이터 분석과 가공을 할까요? 한번 알아봐야겠지요. 고용센터 이름으로 나온 보도자료 등을 한 번 보세요. 지역별 취업자 현황, 유지 취업률, 연령대별 취업률, 구직자 수 및 동향 등 데이터로 정리해야 할 지역 내 고용 및 실업 이슈가 많을 겁니다.
입사하게 된다면 위의 작업들을 할 테니 앞으로 할 것 같은 과업을 거주하는 지역 특성에 맞게 개별화 해보세요. 이런 내용을 담으면 지원동기 쓰는 게 그렇게 어렵지 않을 겁니다.
이 정도면 답이 됐을까요? 자기소개서를 쓸 때 기업이 왜 자기소개서를 받는지, 자기소개서로 보고 싶어 하는 내용이 무엇인지 역지사지로 고민해보길 바랍니다.
자기소개서 최선을 다해 작성하고 좋은 성과 거두길 기원합니다. 답변은 여기서 마칩니다. 감사합니다.
취업고민 즉문즉답 온라인 클래스
클래스 더보기
함께 보면 좋은 콘텐츠
콘텐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