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로그인
명예 멘토 멘토 찾기 콘텐츠 클래스 온라인 클래스 NEW 온라인 컨퍼런스 BETA 멘토 지원하기 로그인
#전문/특수 #직무

로펌비서, 법 지식이 많아야 유리할까요?

안녕하세요. 캐나다에서 대학을 다니고 있는 5년 차 유학생입니다. 하고 싶은 건 많지만 마음을 정하지 못하던 차에 로펌 비서라는 직업을 알게 됐습니다. 법률 쪽에 종사하시는 아버지 덕에 예전부터 법에 관심이 많았습니다. 


ⒸChodyra Mike


그러나 로펌 일이 여러 분야로 나누어져 있다는 정도만 알지 비서가 정확히 어떤 업무를 하는지는 잘 모릅니다. 로펌 비서가 되려면 법 지식이 많아야 할까요? 법대나 로스쿨 혹은 비서학과 출신이 유리할까요? 

마지막으로 한국어가 아닌 제2 외국어 가능자에게 특화된 업무가 있는지도 알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멘토의 답변


로펌 비서, 전공보다는 기본 스펙을 봅니다
한국의 대형 로펌에서 법률 비서를 뽑을 때 법학을 전공했거나 로스쿨을 나와야 한다는 조건을 요구하지 않습니다. 


ⒸLamai Prasitsuwan


로펌에서는 학과보다는 기본 스펙을 점검합니다. 펌마다 차이는 있지만 보통 학점 3.0 이상, 토익 850 이상의 스펙을 요구하죠. 로펌 비서 중에 법대나 비서학과 출신도 있다고는 들었는데 현재까지 제 주변에서 본 적은 없습니다. 대학원에서 비서 관련 석사 학위를 딴 분은 계십니다.   

사실 비서는 법률 실무를 지원하는 직무라 법률적 지식을 미리 갖출 필요는 없습니다. 이런 부분은 입사 후에 충분히 배울 수 있습니다. 

눈치와 센스, 판단력이 중요한 직무
로펌 비서는 크게 '자문 비서'와 '소송 비서'로 나뉘는데, 저는 현재 소송 비서팀에 속해 있어 자문 비서에 대해선 잘 알지 못합니다. 제가 아는 선에서 말하자면, 자문 비서는 기업 자문 일을 맡은 변호사를 담당합니다. 

소송 비서는 법률적 지식 보다는 소송 실무 과정을 잘 아는 게 중요합니다. 답변서 제출 기한, 불변 기한, 마감 기한 등을 꼼꼼히 체크해 담당 변호사들에게 상기시켜주는 센스가 요구되는 자리거든요. 

저는 국내 4년제 대학 영문학과를 졸업하고 일반 소송 비서로 입사해 소송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주로 하는 일은 법원을 오며가며 서면 접수 및 문건 등사를 하는 조직인 송무팀과 함께 변호사들의 송무 일을 돕는 것입니다. 

또한 대법원 사건검색, 기록관리, 문서편철, 결재회람 및 내부회람, 클라이언트와 접촉해 기일 진행 사항과 오가는 문건을 수시로 점검해 공지하는 일도 합니다. 그 외에 수시로 발생하는 변호사 업무를 보조하고요. 아까 말씀드렸든 눈치와 센스, 판단력이 중요한 직무입니다. 꼼꼼함은 필수고요. 

ⒸPixabay


외국어 특기자 전형을 노려보세요
제2외국어가 유창하다면 외국 변호사가 많은 팀에 배정될 수도 있습니다. 이곳에선 계약서 초안 등을 영문으로 작성하고 필요에 따라 번역, 영작을 합니다. 외국 클라이언트 응대, 영문 비즈니스 메일 작성도 업무에 포함됩니다. 

실제로 해외 대학을 졸업한 제 동기 중 한 명은 외국 변호사가 많은 IP팀에서 영어 쓰는 일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다른 외국어도 유사합니다. 외대 일본어학과를 졸업한 제 동기는 현재 일본팀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그곳에서 일본 클라이언트와 소통, 전화응대, 비즈니스 메일 작성 등을 주 업무로 하면서 담당 변호사가 지시하는 번역 일도 맡고 있습니다. 

이 동기는 크게는 자문비서 소속이나 일본 관련 소송이 있을 때는 소송 비서 일을 맡거나 소송 비서와 협업합니다. 이는 앞서 말한 IP 비서도 마찬가지입니다. 

멘티님이 외국어를 능숙하게 할 것 같아서 외국어 특기자로 입사한 동기 비서들 사례를 들어봤습니다. 혹시 법학을 전공했다면 패러리갈(paralegal)도 고려해보세요. 일반적인 비서보다는 더 전문적인 일을 할 수 있거든요. 

법률 문헌을 외국어로 읽고 쓰는 작업을 하는 패러리갈은 외국어 실력이 원어민 수준으로 유창해야 가능한 자리입니다. 로펌 변호사처럼 시간당 수당을 받으며, 독립된 사무실에서 근무할 수 있습니다.

제 이야기가 도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더 궁금한 것이 있으면 문의 주세요.

답변이 궁금한가요?
지금 무료로 확인하세요!
답변 보기
©모든 저작권은 해당 콘텐츠 제공자 또는 해당 콘텐츠 제공자와 잇다가 공동으로 보유하고 있으며, 콘텐츠의 편집 및 전송권은 잇다가 가지고 있습니다.
5
함께 보면 좋은 콘텐츠 콘텐츠 더보기
전문/특수
아마추어 작가, 구체적인 책 출판 과정이 알고 싶어요
글을 쓰는 것에 관심이 있는 27살 학생입니다. 글은 완성이 되어가지만 막상 책으로 만들려니 출판은 어떻게 해야 하나 전혀 알 수 없네요. 저 같은 이름 없는 아마추어 작가가 책을 출판하고 싶을 때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권기우 멘토
프리랜서 · 출판기획/편집
12
전문/특수
번역은 언어만 잘하면 된다? 번역가의 감각과 영역
안녕하세요, 멘토님. 이전 질문에 이어 번역 관련 추가 질문 드립니다. 이번에는 번역가로서의 전문성에 대한 고민입니다. 번약학과같은 전문 학과에서 전공한 번역가도 있겠지만 저의 경우는 비전공자이기 때문에 걱정이 됩니다. 혹시 제가 번역가가 되는 과정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강대훈 멘토
LN2K · Localization
7
전문/특수
변리사 멘토가 말하는 업계 현황과 활로
멘토님, 저는 변리사 자격에 관심이 많습니다. 스물여덟로 대학원 석사까지 마쳤습니다. 이후 구직활동을 하긴 했지만, 그저 초점 없이 방황하면서 보낸 시간이었습니다. 이대로는 안되겠다 싶어 진로 탐색을 해보고 있는데, 전문 자격을 가지고 있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여 변리사에 관심이 많아 멘토님께 질문을 드리게 되었습니다.
이창민 멘토
파이 특허 법률 사무소 · 특허팀
16
전문/특수
건설업계 사무직과 공무직, 어떤 일을 하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멘토님. 저는 건축공학과를 전공하고 부전공으로 보건을 전공했고, 2년 정도 병원에서 일하다 지금은 이직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건축 쪽 사무직 일을 하고 싶은데 지금 어떤 자격증 공부를 해야 취업에 도움이 될까요? 건축 사무직과 공무직이 하는 일도 궁금합니다.
조승우 멘토
한국건설관리공사 · 건축관리처
5
전문/특수
번역가에게 번역만큼 중요한 스킬은?
멘토님, 저는 번역가가 되고 싶습니다. 현실적인 조언을 얻을 수 있는 곳이 마땅치 않아 잇다를 이용하게 되었습니다. 궁금한 점이 몇가지 있어 질문드리고자 합니다. 우선, 번역가가 되기 위해 언어 능력 외에 필요한 능력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멘토님께서 갖고 계신 경험을 바탕으로 적절한 답변을 부탁드립니다.
강대훈 멘토
LN2K · Localization
13
전문/특수
변리사, 이 학벌과 전공으로도 괜찮을 걸까요?
멘토님. 변리사에 도전하기도 전에 제 학벌과 전공이 발목을 잡을까 걱정돼 질문드립니다. 저는 전자전기나 기계 쪽으로는 생각이 없고 신소재나 환경, 에너지 쪽으로 다중전공을 하고 싶습니다. 그런데 변리사는 전자나 기계 쪽이 훨씬 유리하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H 대 자원환경이나 신소재 학과는 변리사로서 경쟁력이 없을까요?
박세일 멘토
다옴특허법률사무소 · 대표
6
콘텐츠 더보기
멘토가 되어 보세요.
취준생, 사회초년생에게 멘토님의 커리어 경험을 공유해 보세요.
멘토 지원하기
  • 회사소개 ·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고객센터
대표번호: 02-2653-1022 (10:00 ~ 19:00) / 점심시간: 13:00~14:00 (주말 및 공휴일 휴무)
㈜레디앤스타트 | 사업자등록번호 : 117-81-82177 | 대표 : 조윤진 서울 종로구 종로 51 종로타워 23층

© 2020 itda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