멘토지원
파트너스
현직자 클래스
멘토 찾기
Best 질문답변
바늘 구멍 인사 취업, 노무사 자격증 취득 뒤에 진로 설정 어떻게 해야 할까요?
멘토
인사/총무/노무
약 2년 전
💬 멘티의 질문


서울 4년제 인문대를 나와서 노무사 자격증을 취득하고, 노무법인에서 수습근무한지 7개월 정도 된 29살 남자입니다.

 

노무사를 땄을 때만 해도 막연하게 노무법인에 들어가서 몇 년 근무하다가 경력직으로 대기업 들어가면 되겠지 생각을 했었는데, 요즘 들어서는 그냥 아예 신입 공채로 들어가는 건 어떨지 하는 생각이 듭니다(노무법인 개업 생각은 없습니다).

 

요즘 수시채용이니 뭐니 해도 아직까지는 공채 위주의 문화가 많이 남아있어서, 제가 경력직으로 들어가 잘 적응할 수 있을까 걱정되기도 하고, 노무법인 근무하면서 페이가 너무 낮은 것에 회의감이 들기도 했고요.

 

그래서 하반기에 신입 공채 지원을 해보자는 결심을 하고 이것저것 알아보는 중이었는데요, 멘토님께서 달아주신 답변들을 보니까 또 고민이 되네요.

 

특히 답변 내용 중에 1) 신입 공채에서 HR 직무는 티오가 너무 적어서 경쟁 과열이다. 2) 대기업에서는 3년 정도의 경력직 채용을 선호한다.라는 내용을 보니 신입 공채 루트를 선택하는 게 맞는 걸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결론적으로 제가 질문드리고 싶은 걸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Ben Sweet


1. 경력직으로 대기업을 들어간다면 적응하는 데 힘들지 않을까요? 기존 직원들의 텃세가 있다든지.. 제가 특히 사람들이랑 친해지는 데 시간이 좀 걸리는 타입이라.. 적응하는 데에는 신입 공채가 훨씬 낫지 않을까 생각이 드네요.

 

2. 제 스펙이면 객관적으로 탑티어 대기업 HR 신입 노려볼만할까요? 서울 4년제 비상경 문과, 노무사 자격증 보유, HR 학회에서 1년 활동, 학점 3점 중반

 

3. 대기업에서는 인사직무에 경력직을 선호한다고 하셨는데, 그렇다면 대기업에서 경력직에게 원하는 역량(어떤 업무 경험을 요구하는지?)은 어떤 것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노무법인에서 근무한다고 해서 다 똑같은 업무를 하는 게 아니라 워낙 다양한 업무를 하다 보니.. 감을 못 잡겠네요.

 

4. 보다 근본적인 문제인데요, 제가 다소 내성적인 성격인데 이런 성격은 애초에 인사직무에 어울리지 않는 성격일까요?

 

쓰다 보니 질문이 좀 많아졌습니다. 요즘 이런저런 고민이 너무 많아서 쓰려면 더 쓸 수 있는데 이쯤에서 마무리하겠습니다. 바쁘시겠지만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박종헌 멘토의 답변


안녕하세요. 질문 주신 내용을 보니 많은 걱정과 고민이 되실 것 같네요. 취업까지의 힘든 여정을 조금 먼저 걸었던 사람으로서 응원하고 축복합니다. 우선 멘티님께서 주신 질문에 답변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내용은 제 개인적인 생각이니 HR 현직자 분들께 다양하게 의견을 구해보는 걸 추천해 드려요.


 ©Annie Spratt


경력직으로 입사를 노리는 게 맞을까요?

개인적으로는 여전히 신입 공채보다는 경력을 쌓으시고 관련 직무로 대기업 입사를 추천드립니다. 물론 미련이 남으신다면 신입을 도전해 보는 것도 추천합니다.

 

저는 각사에 채용담당자들과 커뮤니티를 여러 개 진행하고 있는데, 많은 회사가 신입보다는 경력 위주에 채용을 진행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이러한 Trend는 크게 변하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확률 면에서 경력직으로 입사하는 것이 더 수월하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어요.

 

걱정하시는 텃세, 적응 부분도 말씀드릴게요. 평생직장에 개념이 사라진 시대입니다. 공채로 입사하여 정년까지 다니는 직원들도 거의 없으며(저 또한 현재의 회사에 아주 만족하지만, 언제든 더 좋은 기회가 있다면 이직도 고려하고 있습니다) 한 회사의 오랜 경력이 Loyalty와 능력으로 여겨지는 시대가 아닙니다. 그러니 경력은 물론 다양한 루트로 입사하는 경력직에 차별이라든지 텃세는 크지 않습니다

 

제 스펙이면 대기업 인사 가능할까요?

멘티님은 스펙(학교, 노무사 자격)이 좋으시니 탑티어 대기업 HR 신입도 노려보셔도 좋을 듯해요! 다만, 탑 티어 대기업 신입 공채 진행 시 대부분이 많이 준비를 하신 분들/스펙이 좋으신 분들이 지원하시기 때문에 직무 전문성/직무경험에서 합격 여부가 결정이 됩니다. 따라서 노무법인에서, 직무 경험을 조금 더 쌓으시고 직무 경험/관점 위주로 접근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추가로 컴활, 영어성적과 같은 자격증은 큰 변별력을 가지지 않습니다.


 ©Alesia Kazantceva


어떤 경험이 경쟁력 있는 경험일까요?

대기업 경력으로 입사를 한다는 가정하에 직무분석을 해보시고, 경력직 채용공고를 찾아보시길 추천드립니다. 경력직 채용에 경우 세분화된 직무(평가 전문가/보상전문가/HR 제도 기획 전문가/채용 전문가 등) 위주에 채용을 진행합니다.


따라서 노무법인에서 근무하실 때도 직무분석을 통해 나의 HR 커리어 계획을 설계해 보고 해당 계획에 따라 경험을 축적해 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HR 제도기획/컨설팅 업무로 전문성을 쌓을지, 노무 전문가로 경험을 쌓을지를 결정하고 경험을 집중하는 게 필요합니다. 초반 1년 정도는 폭넓게 경험해 보고 이후에는 노무법인을 옮겨가며 해당 경험에 Depth를 높여가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내성적인 저, 인사 직무에 어울릴까요?

인사 직무라고 하면 술도 좋아하고 사람들과 커뮤니케이션도 좋아야 할거 같은 생각이 듭니다. 물론 그런 성향에 분들이 HR 영역에 많은 것 또한 사실입니다. 사실 신입 채용에서는 해당 성향에 분들이 눈에 더 띄고, 채용 확률 또한 높습니다.

 

다만 HR 세부 영역으로 들어가면 직무별로 필요한 성향이 다양합니다. 데이터를 분석하는 업무, 법률적으로 분석/대응하는 업무 등 세심하고 이성적인 부분에 전문성을 가진 업무 또한 많습니다. 따라서 나에 약점보다는 그 약점을 넘어설 수 있는 강점을 갈고닦으시길 추천합니다. 저희 팀에서 고성과를 내시는 분도 내성적이시지만 빠른 업무 속도와 이성적인 사고, 분석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부족한 답변이지만 참고 부탁드리며, 다시 한번 취업까지의 여정을 응원하며 추가로 궁금하거나 도와 드릴 부분은 언제든 추가로 말씀 주세요 끝으로 좋은 결과 있으시길 응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자세한 답변 너무 감사합니다. 직무 전문성이라고는 아직 노무사 자격증 딴 거 말고는 없기 때문에 노무법인에서 좀 더 근무를 하고 기업으로 옮기는 게 현실적으로 가능성 있어 보이네요. 아직도 고민이 너무 많이 되지만 말씀해 주신 내용이 많은 도움이 됐습니다. 감사합니다.


같은 직무를 다룬 글
인기 있는 글
연구/설계
약 5년 전
잇다의 멤버가 되어주세요 🚀
직무, 취업 콘텐츠를 담은   뉴스레터를 받아볼 수 있어요.
멘토에게 직접   질문할 수 있어요.
현직자 클래스를 무료로 수강할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