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쇼핑 MD의 하루
1) 방송 미팅
편성 및 캐스팅(PD나 쇼핑 호스트)이 확정되면, PD 주관으로 방송 미팅이 진행됩니다. 방송 미팅에는 담당 PD와 쇼핑 호스트, 담당 MD, 협력사가 모여서 방송 시간대의 특징(공중파 편성 및 *재핑), 주요 고객 연령대, 상품 및 구성상 특징 등을 공유하고, 그 날 방송 콘셉트를 논의합니다.
2) 현장 영업
외근이 많습니다. 업체들이 찾아오기도 하지만, 대박 상품 같은 경우는 직접 찾아 나서서 현장 영업을 통해 상품을 소싱해 옵니다. MD는 상품의 총 책임자이므로, 상품의 품질에 문제가 생기면 *QM과 함께 제조사를 방문하고, 물류에 차질이 생기면 배송 담당자와 함께 물류 창고에 방문하는 등 외근 일정이 많습니다. 그밖에도 상품 소싱을 위해 국내 혹은 해외 박람회에 출장을 가기도 합니다.
3) 편성 회의
매주 편성 회의가 진행됩니다. 보통 2주~3주 후의 방송 편성을 논의합니다. MD는 ‘실적이 곧 인격이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MD마다 할당된 월 목표를 달성해야 합니다. 편성 회의 때 자신의 상품이 방송에 많이 편성되어야 목표를 달성할 수 있겠죠? 그래서 편성 회의는 가장 중요한 회의 중 하나이고, 이때 자신의 상품을 어필하려면 사전에 상품 프로모션, 경쟁사 동향, 수수료율 협상 등을 철저히 준비해야 합니다.
4) 상품 트렌드 분석 및 경쟁사 방송 모니터링
상품을 기획하는 MD는 트렌드에 누구보다 밝아야 합니다. *QVC와 같은 해외 홈쇼핑, 인터넷 쇼핑몰, SNS 트렌드 웹, 경쟁사 방송을 계속 모니터링 해야 합니다.
Ⓒrawpixel
홈쇼핑 MD의 역량
1) 영업 능력 및 협상력
업체와 상품 구성, 수수료율, 경쟁사 편성 등의 문제로 밀고 당기며 줄다리기 할 수 있는 영업 능력과 협상력이 필요합니다.
2) 상품 기획력
MD는 두 가지 상품 기획력이 필요합니다. 업체가 제안한 상품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고 소비자에 어필할 수 있는 센스, 그리고 시중에 없는 상품이지만 구현하면 대박이 날 것 같은 아이디어를 자본력 있는 협력사에 제시하여 함께 히트 상품을 기획해 나가는 상품 기획력이 필요합니다.
ⒸJazmin Quaynor
홈쇼핑 어플을 다운받아서 관찰해 보세요
모바일 어플 홈쇼핑 모아를 다운로드 하셔서, 원하시는 카테고리로 분류한 후 TOP 100 상품들을 훑어보세요. 홈쇼핑에서 주로 판매하고 있는 상품들의 특징이 보일 거예요. 트렌드뿐만 아니라, 동일 상품군이 어떻게 구성되어있는지, 가격대가 어떻게 형성되어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화장품 중 팩트류의 경우, 본품 2개+리필 3개+기초 3종으로 구성해서 총 69,900원에 판매되고 있다는 식으로 말이죠.
저는 처음부터 뷰티 분야에 지원하지 않고, 우연한 기회로 뷰티팀에 들어갔습니다. 입사 당시 상품 기획 PT 면접을 봤는데, 그 때 뷰티 관련 상품을 발표한 것이 계기가 되었죠. 평소에도 패션과 뷰티쪽으로 관심이 많아서, 트렌드 분석이나 고객의 니즈를 읽어내는 것이 어렵지 않았습니다.
멘티님도 관심있는 분야나 자신만의 강점을 잘 드러낼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 보시기 바랍니다.
*재핑(Zapping) : TV를 시청할 때 광고나 흥미 없는 부분이 나오면 다른 채널 버튼을 눌러 흥미로운 부분만 연속해서 찾아가는 시청 패턴
*품질 경영 (QM, Quality Management) : 품질 시스템 내에서 품질 계획, 품질 관리, 품질 보증, 품질 개선 업무를 수행하는 전반적인 경영 활동, 또는 그런 행위를 하는 사람을 일컬음
*QVC(Quality, Value, Convenience) : 미국의 홈쇼핑 업계 선두 기업으로, 매주 1,600여 개 제품을 경쟁력 있는 가격에 공급하고 있으며, QVC의 TV홈쇼핑은 전 세계적으로 1억6600만 가구가 시청하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