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티켓 내역
  • 회원가입
  • 로그인
대학교육 멘토지원
로그인
홈 클래스 LIVE 멘토 콘텐츠
#생산/품질/제조 #직무

반도체 공정 전후의 인프라 기술 직무의 실제 업무와 준비팁

유재호 멘토
삼성전자 · 인프라기술

안녕하세요! 저는 기계과를 졸업한 취준생 멘티입니다. 인프라 기술이라는 직무에 관해서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드리게 됐습니다.

 

ⓒ️manine99

1. 인프라 기술은 FAB(반도체 제작 공장) 이 원활하게 가동되기 위해 필요한 가스, 배기, 배관 등의 utility를 설계, 시공, 감시 등의 업무를 하는 것으로 대략적으로 알고 있는데요. 더 구체적으로 어떤 일을 말씀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 기사 자격증이 없으면 입사하기 힘들다고 하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전공 학점은 3.96입니다. 기사 자격증 대신 어필할만한 점이 무엇이 있을지, 직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역량은 무엇인지도 궁금합니다.

 

3. 공군에서 2년 동안 설비 운영병으로 근무하면서 배관, 공조 시설, 에어컨 등을 유지, 보수한 경험이 있는데 이 부분을 어필하는 것이 도움이 될까요? 

 

군대 이야기하는 것은 좋지 않다는 소리를 들었는데요. 멘토님께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유재호 멘토의 답변


안녕하세요. 멘티님! 인프라 기술에 대해 궁금하시군요! 바로 답변 드리겠습니다.

 

ⓒarhendrix️

인프라 기술을 크게 두가지로 나뉘어요

 

- 前 공정 :  FAB 內 반도체를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Utility(전기, 물, 공조, gas, chemical 등)를 원활하게 공급해줘야 합니다.

 

- 後 공정 :  Utility를 공급하면서 발생하거나 FAB에서 반도체를 만들고 남은 Utility(slurry류, 폐수, 배기 등)을 법적 기준에 맞게 처리를 해주어야 합니다.

 

이런 역할을 하는 부서들이 하는 업무를 크게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습니다.

 

부서별 업무


1. 품질 업무


높은 수율의 반도체 생산,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공급받는 Utility들의 품질이 좋아야 합니다.

 

예로, 전기가 220V, 440V 등으로 공업시설에 쓰이는 전용 전압이 Setting 되어 있다고 합시다. 220V로 공급(supply)해주다가 30분 間 245V로 과전압이 흘렀다? → 과전압이 흐른 FAB 내의 특정 설비들의 Fuse가 나간다던지, Panel 안의 cable들이 단선이 된다던지 이런 문제가 발생해서 설비가 Shut down 되겠죠? → 공정 stop & 반도체 생산 stop으로 이어지면서 생산금액에 막대한 피해가 갑니다.

 

그래서, 우리는 품질 모니터링(Monitoring)을 하면서 일정하게 공급 Spec 범위로 운전될 수 있도록 역할을 해야합니다. Spec 이탈이 되면 원인을 분석하여 찾아내서 해결해줘야겠죠?

 

ⓒcosma

 

2. 보전 (유지보수) 업무


어떤 문제가 발생했는데, 원인 분석을 해보니 Pump에 Bearing(기계의 베어링 부품) 마모가 되었어요. 설비 노후화가 되어 교체가 필요하다거나, 더 효율성이 높은 설비가 있으니 교체해야 한다거나 등 이런 상황에서 설비에 대한 유지보수를 진행하게 됩니다. 

 

단순 교체를 하기보다 끊임없이 개선점을 찾아내어 Process 상에 효율적이고 기술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Item을 고민하고 실행에 옮기려고 하고 있어요.

 

3. 제어 업무


품질 모니터링(Monitoring)을 하기 위해서 다양한 센서, 분석기, 자동 밸브류, 자동제어를 위한 PLC1) Logic적인 부분들 등이 많이 심어져 있습니다.

 

이런 부분들에서 문제가 발생했을 때, 원인 분석 및 개선점을 찾는 역할을 해요. 예로, 센서의 Type을 개선해서 품질 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이는 활동을 하거나 PLC Logic에 대한 이해를 통해 설계/시공/초기 Set up에 함께 참여할 수 있는 기회도 얻을 수 있어요.

 

ⓒBayurov Alexander

 

4. 시공/설계 업무


말 그대로 신규 공장을 짓는다든지, 새로운 Process를 적용하게 되면 변경점에 대한 부분을 검토하고 시공/설계적인 부분에 참여해서 이를 함께 수행하는 역할을 합니다. 설계사와 함께 설계/시공 기준부터 Risk 검증 등 폭넓은 지식을 습득할 기회가 되고, 직접 경험할 때 내 역량의 Level up이 빠르게 되겠죠?

 

면접 대비, 자신과 직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합니다

전공학점이 높은 편이시네요. 좋습니다! 직무 관련 자격증이 필수는 아니지만, 취업이 어렵다보니 다들 1개씩은 가지고 있는 추세라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없더라도 면접 때 자격증이 왜 없는지에 대한 질문 방어대비를 하여 가시면 되겠습니다.

 

무엇보다 본인이 직무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나 자신을 고찰해보시고 본인의 강점을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를 생각해보세요. 직무마다 필요역량이 다를겁니다. 예로, 재경팀이면, 돈과 숫자 이런 부분에 예민한 부서겠죠. 그러면 꼼꼼한 사람, 엑셀 활용 능력이 좋은 사람 당장 이런 부분들이 떠오릅니다. "자소서에 본인의 장단점을 쓰세요" 그러는데 '제 단점은 덤벙댄다는 점입니다' 라고 쓰면 아마도 마이너스가 되겠죠!

 

본인이 희망하는 직무를 먼저 고민해보고 뭐가 필요할까 고찰해보는 것을 추천드리겠습니다. 그리고, 최근 회사들이 직무에 대한 관심도, 관련 경험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에 맞는 경험들이 있으시다면 잘 작성해주세요.

 

ⓒPixabay

 

자소서에 군대 이야기? 경험을 쓰는 TIP!

경험은 경험입니다. 군대 이야기를 쓴다고 거르고 그렇지는 않으니 활용하셔도 무방합니다. 단, 하이닉스처럼 '군대 이야기는 지양하세요' 명시된 곳에서는 안 쓰시는게 좋겠죠?

 

하나의 Tip이 있다면, 배경을 바꾸시는 거에요! 에어컨이 군대에만 있는게 아니니까요. 에어컨 고친 경험을 알바하면서 고쳤다, 동아리방에 오래된 에어컨이 고장이 나서 친구들이 힘들어하는데 내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어디가 문제인지 분석해보면서 하나하나 뜯어보면서 찾아봤다 등등 뭐든 사실, 자소서에 나의 경험을 녹여내어 간단한 상황 정도는 만들 수가 있습니다. 

 

진짜 본인이 한 경험이니까, 작은 상황 설정 부분에서 거짓말이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아요. 본질은 에어컨 고쳐서 얻은 교훈이니까요. 단, 정말 거짓말은 못친다. 난 정말 착한 사람이라 긴장되고 양심에 털이 나서 표정관리가 안된다 이러면 그냥 솔직하게 있는 그대로 쓰셔야겠죠? 

 

멘토님 직무 준비에 도움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1)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는 산업 플랜트의 자동 제어 및 감시에 사용하는 제어 장치이다. PLC는 입력을 프로그램에 의해 순차적으로 논리 처리하고 그 출력 결과를 이용해 연결된 외부장치를 제어한다. 


답변이 궁금한가요?
지금 무료로 확인하세요!
답변 보기
©모든 저작권은 해당 콘텐츠 제공자 또는 해당 콘텐츠 제공자와 잇다가 공동으로 보유하고 있으며, 콘텐츠의 편집 및 전송권은 잇다가 가지고 있습니다.
14
생산/품질/제조
유재호
명예 멘토
삼성전자 · 인프라기술
- 2021년 잇다 명예멘토
- 2022년 잇다 명예멘토
- 취업 컨설팅 경력 4년~
(대학교, 잇다 외 외부 컨설팅 활동 중)
※ 삼성전자 합격자 다수 (+다른 기업 포함)
더보기
#직무 #스펙 #면접 #회사생활 #자소서
팔로우 답변 중
취업고민 즉문즉답 온라인 클래스 클래스 더보기
김한상 멘토
삼성전자
NEW
11일 후 마감
마케팅/MD · 직무 특강
디지털/브랜드 마케터가 들려주는 마케팅 직무 이야기

2023.2.20(월) 19:00
온라인
2023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
서지애 멘토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4.86 (22)
종료
공사/공기업 · 직무 특강
공공기관 입사준비부터 실무까지! 공공기관에 입사하면 생기는 일

2023.1.19(목) 19:00
온라인
숭실대학교
안정민 멘토
금호타이어
4.9 (21)
종료
생산/품질/제조 · 직무 특강
[이공계 직무 멘토링 8년차] 제조업 품질 담당자와 함께하는 "생산/품질" 직무 이해하기

2023.1.10(화) 19:00
온라인
숭실대학교
조영무 멘토
IBM
5.0 (4)
종료
영업/영업관리 · 직무 특강
무작정 취업? 하지 마세요! 현명하게 커리어/직무를 선택하고, 회사 생활하는 시크릿을 알려드려요!

2023.1.6(금) 19:00
온라인
2022 한국외국어대학교(서울)
이정열 멘토
Philips Korea(ex P&G)
4.95 (43)
종료
마케팅/MD · 직무 특강
온라인 영업/마케팅 분야에서 커리어를 발전해나갈 수 있는 Insight를 알려드려요!

2023.1.5(목) 19:00
온라인
2022 한국외국어대학교(서울)
클래스 더보기
함께 보면 좋은 콘텐츠 콘텐츠 더보기
생산/품질/제조
품질 직무, 타협하지 않고 원칙을 지키는 마인드가 중요해요.
품질 직무로 취업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늘 지원동기 쓰는 것이 어려운데, 제가 품질 직무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해서 일까요? 혹시 멘토님께서 갖고 계시는 품질 직무를 위한 지원동기 작성 팁이 있을까요? 이와 관련하여 현직 멘토님께서 조언 주시면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멘토
생산/품질/제조
80
약 4년 전
생산/품질/제조
현직자가 전하는 품질 관리 A to Z
식품영양학과를 전공하고 있는 멘티입니다. 품질 관리 직무에 관심이 생겨, 잇다를 통해 멘토님께 질문 드립니다. 품질관리 직무가 어떤 일을 하는지, 어떤 사람이 품질 관리 직무에 어울리는 사람일지 알 수 없는데, 멘토님께서 답변 주실 수 있을까요?
멘토
생산/품질/제조
90
약 4년 전
생산/품질/제조
H제철 현직자가 말하는 보람과 인간관계
H제철 현직자 멘토님, 지난 번 답변이 인상적이어서 이번에 다른 질문으로 한 번 더 여쭤봐도 될까요? 제철에서 일하시면서 가장 기뻤던 일이 무엇이 있으신가요? 반대로 근무 교대와 같은 어려움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도 궁금합니다.
멘토
생산/품질/제조
8
약 4년 전
생산/품질/제조
쉬운 비유로 알아 보는 플랜트 기술 직무
플랜트 기술 직무 진로를 희망하는 멘티입니다. 저의 전공인 전기, 전기가 플랜트 기술에도 활용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또한 플랜트 기술에서는 어떤 업무가 이뤄지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멘토님의 의견이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
멘토
생산/품질/제조
8
약 4년 전
콘텐츠 더보기

Footer

가치 있는 커리어 경험을 연결합니다.
We connect with valuable work experience.
  • 온라인 클래스
  • 실시간 클래스 후기
  • 🚀 오리지널 클래스
  • 멘토 찾기
  • 멘토 지원하기
  • 업데이트 노트
  • 자주하는 질문
  • 문의하기
  • B2B 대학교육 서비스

© 2023 잇다, Inc. All rights reserved.

회사소개 |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네이버 블로그 |
브런치
대표번호: 02-2653-1022 (10:00 ~ 19:00) / 점심시간: 13:00~14:00 (주말 및 공휴일 휴무)
㈜레디앤스타트 | 사업자등록번호 : 117-81-82177 | 대표 : 조윤진 서울 종로구 종로1길 50 더케이트윈타워 B동 3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