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멘토 찾기
  • 콘텐츠
  • 멘토 에세이
  • 멘토 지원하기
  • 도움말
  • 회원가입
  • 로그인
멘토 지원하기 콘텐츠 멘토 에세이 도움말 회원가입 로그인

게임 개발자의 소양 능력

게임 개발자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게임 업계로 취업을 하고 싶은 분들의 고민이 바로 이것이 아닐까 합니다. 게임회사에서 인력을 채용할 때 대부분 학력을 묻지 않습니다. 그렇다고 공부를 하지 않고 게임을 잘한다고 입사하는 건 아닙니다. 예전에는 그런 경우도 종종 있었지만 요즘 채용에서 그런 경우는 본 적이 없습니다.

게임을 제작하려면 단순히 재미있는 아이디어를 생각하는 능력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아이디어를 게임의 구조로 바꿔 생각할 수 있는 능력, 논리적인 사고, 생각을 글과 말로 전달할 수 있는 표현능력과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1. PC
게임 개발자가 되기 위해 공통적인 기초적인 것을 이야기해봅니다.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개발은 컴퓨터를 사용합니다. 직종을 불문하고 PC의 사용에 거부감이 없어야 합니다. PC를 사용한다는 뜻은 소프트웨어를 능숙하게 사용할 수 있다면 좋다는 뜻입니다. 워드, 엑셀 같은 사무용 소프트웨어뿐 아니라 그래픽을 다루는 프로그램의 기본적 사용법도 알아두면 좋습니다. 프로그래머라면 OS와 비주얼스튜디오에 거부감이 없어야겠습니다.

2. 논리적인 사고
게임을 제작하려면 논리적인 사고도 중요합니다. 아무리 재미있는 아이디어가 떠오르더라도 결국 프로그램으로 만들지 않는 이상 컴퓨터와 모바일 기기에서 화면을 보기는 힘듭니다. 프로그램이란 컴퓨터에 대한 명령입니다. 컴퓨터를 사용해 게임을 만드는 이상 만들고 싶은 게임 내용을 모두 PC에 대한 명령으로 바꿔야 합니다.

논리적이란 말은 논리학을 안다는 의미가 아니라 모호하지 않고 명확하게 프로그램을 할 수 있는 게임 구조를 생각해낼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3. 게임 지식과 제작자로서의 시선
게임 개발자를 목표로 한다면 게임의 역사를 되짚어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과거의 게임을 알아두면 큰 도움이 됩니다. 게임의 역사를 알면 나중에 활용할 수 있는 여지가 많습니다. 이를 위해서 꼭 비디오 게임만 고집할 필요는 없습니다. 다양한 보드게임과 카드게임도 같이 살펴보면 좋습니다.

게임을 플레이할 때 제작자의 시선으로 자주 바라봅시다. 내가 제작자라면 어떻게 만들지 고민하고 생각해봅시다. 그리고 게임의 룰과 데이터는 어떻게 되는지, 기획서나 시스템 설명서를 작성한다면 어떻게 할지 생각해 봅시다. 그리고 게임을 더 재밌게 하기 위한 요소는 무엇이 있을지 고민하고 문서로 만들면 좋습니다. 소위 망게임도 다방면으로 플레이합시다. 왜 망할 수밖에 없었는지 요소를 파악하고 게임 개발의 자양분으로 삼아봅시다.

4. 커뮤니케이션
게임은 1인 인디게임 외에는 다양한 사람들이 모여 만듭니다. 게임의 제목, 캐릭터, 세계관, 재미, 진행 방법, 프로그램, 그래픽, 사운드 등등 많은 분야의 사람들이 공동 개발합니다. 대화를 나누는 상대는 당연히 입장이 다른 여러 사람입니다. 그래서 타인과 원활히 대화하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말하기와 듣기는 아주 중요한 능력입니다. 오해가 없도록 의사소통을 꾀하는 것은 생각만큼 간단하지 않습니다.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게임 개발자뿐만 아니라 어느 직장에서도 필요한 능력입니다. 말하기도 중요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듣기입니다. 상대의 의도를 생각하면서 진의를 파악해야 합니다. 이러한 능력이 없다면 대화 자체가 성립되지 않습니다.


 
5
곽준원 멘토 팔로우 질문하기
웹젠 · 클라이언트팀
대표 멘토링 분야
게임 프로그래밍 및 게임 업계 준비(PM, 기획, 프로그래밍)
멘토링 분야
IT개발
직무
진로
회사생활
기타
추천 에세이
백은진 멘토
EVERLAST FITNESSWEAR A...
2019년 2월 1일
직접 다녀보고 알려주는 대기업/ 외국계/ 중견기업/ 중소기업의 보편적 차이점 2편 (외국계)
안녕하세요,  2편–외국계를 준비하여 기재하게 된 멘토 백은진입니다. 그 중, “영어” 를 주언어로 사용하는 외국계에 대한 이야기를 드릴 것이지만,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회사에 대한 지원 의사가 있으신 경우에도 이를 다른 언어로 받아드리고 이해하셔도 될 듯 합니다. <2편 외국계: “자율성” 과 “업무 효율”의 신세계, 정말일까? + 영어는 얼마...
19
Bae Jinho 멘토
미라콤 · 삼성 엔지니어링 CI 그룹
2019년 1월 26일
8년차 개발자, 스타트업 회고(1년 3개월)
* 문득, 떠나고 싶어질때 벌써, 스타트업에 개발자로 뛰어든지 1년 4개월이 지나고 있습니다.2018년 9월, 그리고 10월에 회사 선배에게 선배님 저 이제 나갈때가 된 것 같습니다.그리고 회사 선배님과 L타워가 바라보이는 사무실에서"조용히 커피를 마시며, 진짜로 떠날때가 되었다고 생각하냐?"이렇게 물어보셨는데,언제까지 회사가 주는 안정감으로만 살 수...
7
백은진 멘토
EVERLAST FITNESSWEAR A...
2019년 1월 25일
직접 다녀보고 알려주는 대기업/ 외국계/ 중견기업/ 중소기업의 보편적 차이점 1편 (대기업)
안녕하세요? 저는 20대 동안 위에 열거한대로 매출 2조 이상의 국내 대기업 / 7조 이상의 외국계 / 70억 수준의 중견기업 / 20억 수준의 중소기업을 다닌 멘토 입니다.  저 또한 어떤 기업 문화가 저와 "찰떡"처럼 잘 맞는지 몰랐기 때문에 겪은 경험들이며, 이 글 5편 (1편: 대기업 2편: 외국계 3편: 중견기업 4편: 중소기업 5편:종합)을...
31
  • 멘토 찾기
  • 콘텐츠
  • 멘토 에세이
  • 멘토 지원하기
  • 도움말
  • 회원가입
  • 로그인
페이스북 · 블로그 · 브런치
  • 회사소개 ·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고객센터

    © 2018 itdaa

㈜레디앤스타트 | 사업자등록번호 : 117-81-82177 | 대표 : 조윤진
서울 종로구 종로1길 50, 더케이트윈타워 B동 2층 | 광화문 앞
대표번호: 02-2653-1022 (09:00 ~ 18:00) /
점심시간: 13:00~14:00 (주말 및 공휴일 휴무)